시민단체 “유통망 확대 필요”…우체국 위탁판매 추진
‘알뜰폰’의 통화 품질과 저렴한 요금은 합격점을 받았지만 가입은 불편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시민단체들은 알뜰폰 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유통망이 제공돼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3월 기존 이동통신서비스를 이용하다 알뜰폰으로 전환했거나 두 서비스를 동시 사용 중인 300명을 조사한 결과 통화 품질은 만족스럽고 이용 요금은 저렴한데 반해 요금제 등 관련 정보나 가입경로가 다양하지 않아 소비자들이 알뜰폰 가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알뜰폰 사용 결과 월 평균 통신비를 41.3%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G스마트폰 정액요금제 이용자는 알뜰폰으로 전환하면서 46.7%(51,226원→27,312원), 4G(LTE)폰 정액요금제 이용자는 52.1%(57,495원 → 27,528원)의 통신비를 아낀 것으로 밝혀졌다.
통화품질에도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4.0%(282명)가 기존 이동통신서비스의 품질과 동일하다고 응답했다.
반면, 알뜰폰 가입과 이용편의를 위한 서비스 및 제도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뜰폰 업체 18개 중 오프라인에 가입처를 둔 업체는 2개(11.1%)에 불과했고, 13개(72.2%)는 홈페이지에서만 가입이 가능했다. 또한, 고객센터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99명) 중 가입절차 안내, 이용정보 제공 및 고객응대 서비스에 만족했다고 응답한 이용자는 66.7%(66명)에 그쳤다.
시민단체들은 알뜰폰 시장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유통망이 제공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박지호 간사는 26일 ‘go발뉴스’에 “알뜰폰 시장 활성화를 위해 유통망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간사는 “단, 유통망이 제공될 때 입찰을 통한 공정한 기회 제공, 투명한 과정이 필수요건”이라고 강조했다.
전국통신소비자협동조합 이용구 상임이사는 ‘go발뉴스’에 “알뜰폰의 다양한 유통 네트워크가 필요하다”며 “알뜰폰을 통해 국민의 통신비 부담이 줄어드는 만큼 무엇이 국민에게 더 이로운가를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전국 3600여개의 우체국에서 알뜰폰을 위탁판매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26일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미래창조과학부와 우정사업본부는 유통망이 빈약한 중소 알뜰폰 사업자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우체국 네트워크를 활용·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미래부 관계자는 "이동통신사들이 전국에 수천개의 고객접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알뜰폰 사업자는 유통망이 부족하다"며 "고객접점 해소를 위해 우체국을 활용하는 방안을 진지하고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