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촛불 “박정권과 못살겠다”.. ‘박근혜 퇴진’ 촉구

전대미문 국기문란 사태.. ‘3·15 부정선거 54주년’ 대규모 촛불 예고

이른바 ‘서울시 공무원 간첩사건’에 국가정보원이 개입해 핵심 증거를 조작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는 가운데 이를 규탄하는 시민들이 거리로 나왔다.

280여개의 시민단체가 모인 ‘국가정보원 등 국가기관의 총체적 대선개입 및 박근혜 정부의 수사방해 진상규명을 위한 시민사회 시국회의’(이하 국정원 시국회의)는 8일 저녁 서울시 청계광장에서 35차 촛불집회를 열었다.

집회에는 최근 갑작스럽게 추워진 날씨에도 불구하고 300여 명의 시민들이 참여했다.

ⓒ‏ (@oksu*****) 트위터
ⓒ‏ (@oksu*****) 트위터

국정원 시국회의 측 기조연설자로 나선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민주수호비상특위 이석범 부위원장은 간첩증거조작 사건 관련해 “국익을 위해 헌신해야 할 국정원이 대한민국 국민을 간첩으로 내몰고 증거까지 조작하는 엄중한 현실을 결코 잊어선 안 된다”며 “정치 검찰과 국정원이 혁파돼 국민의 검찰, 국민의 국정원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부위원장은 “1987년 안기부가 정부에 대한 비판 세력을 억압하기 위해 ‘수지김’ 간첩사건을 조작했다”며 “서울시 공무원이었던 유우성씨에 대한 간첩여부는 법원의 최종 판결이 날 때 까지 유보하더라도, 이번 사건은 항소심에서 검찰과 국정원이 증거를 조작한 전대미문의 국가기관 문란사태”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과연 국정원을 이대로 둬야 하는지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사건과 관련된 검사와 관련자들, 국정원 직원들을 엄중히 조사해 처벌하지 않는다면 제2, 제3의 수지김 사건이 발생하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어디 있나. 특별검사를 통해 서울시 증거조작사건을 조사해야 우리 사회 민주주의가 바로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날은 106주년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우리 사회의 여성 노동자들에 대한 정부의 처우를 비판하는 목소리도 이어졌다.

전국여성연대 손미희 대표는 ‘안녕들 하십니까’ 열풍에 대해 언급하며 “도대체 대통령을 믿고 못 살겠다며 우리끼리라도 안부를 묻는 상황”이라 말문을 열었다. 손 대표는 이어 “시작부터 부정․부패인 현 정권과 함께 이 땅에서 살기 힘들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106주년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오늘 여성단체들이 ‘박근혜 대통령 1년, 여성으로서 못 살겠다’는 주제로 증언대회를 했다”며 “여성 노동자들의 70%가 비정규직이고 비인권적인 대우를 받으며 무시당하고 있는데 어떻게 여성이 행복할 수 있겠나”라고 비판했다.

공공운수노조연맹 최보희 부위원장은 연단에 올라 “비정규직 노동자 절반이 여성 노동자들이고 여성 비정규직의 임금은 113만 원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최 부위원장은 “국립 서울대병원은 무기계약을 안 해주려고 5월에 출산을 앞두고 있는 병원 여성노동자를 해고했다”며 “이는 대한민국 여성노동자들이 처한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민주노총의 권수정 여성 위원장은 “관권 부정선거로 만들어진 박근혜 정권, 여성대통령 박근혜 정권 시대에 여성 노동자들을 더 힘들게 하는 행태가 벌어지고 있다”며 “고용 창출이라는 미명하에 시간제 일자리가 확대되고 있고, 700만 개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공언하면서 여성들은 저임금, 불안한 노동에 처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권 위원장은 이어 “현 상황대로라면 석촌동 모녀 자살사건처럼 극단적 선택을 할 수밖에 없는 여성 노동자들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며 “나서야 된다. 싸워야 된다. 박근혜 정권을 바꿔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Ryu******) 트위터
ⓒ (@Ryu******) 트위터

대학생들도 적극 연대할 뜻을 밝혔다. 서울대 사회대 전효민 학생회장은 “박근혜 대통령이 여성이 행복한 나라를 만들고 경력 단절을 없애기 위해 시간제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했는데, 학교 비정규직 여성노동자들은 ‘비정규직으로 더 이상 못살겠다. 여성 대통령 필요 없다’고 했다. 이 여성 노동자의 발언이 여성 노동자들의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전 회장은 “106년 전 ‘여성에게 선거권을 달라’고 싸웠는데 지금 얼마나 현실이 바뀌었는가”라며 “우리의 권리를 확대하는 일에 학생들도 함께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정원 시국회의는 다음주 15일에는 ‘3·15 부정선거 54주년’을 맞아 민주당 등 야당이 참여하는 대규모 촛불집회를 열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