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피해 우려.. 금융사는 ‘수익’ 내기 급급
사상 최대의 개인정보 유출에도 은행과 카드사들이 피해 고객을 전혀 몰라 보이스피싱 등 2차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일부 카드사는 금융당국의 자제 요청에도 수익 앞세우기에 급급해 금융사의 도덕적 해이가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1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은행, 카드사, 저축은행, 캐피탈사에서 1억1천여만건의 고객 정보가 유출된 사실이 적발됐으나 해당 금융사는 관련 자료를 받지 못해 피해 고객이 누구인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검찰은 대출모집인, 금융사 직원, 신용평가사 직원을 수사해 한국씨티은행과 한국스탠다드차타드(SC)은행에서 13만건, 국민카드·롯데카드·농협카드에서 1억400만건, 저축은행·캐피탈에서 수십만건의 고객 정보가 유출된 것을 확인했다.
검찰 발표 후 금융감독원이 특별검사에 돌입했으나 정작 중요한 유출 고객 정보는 이들 금융사에 전달되지 않았고, 이 때문에 금융사는 책임을 지겠다는 사과문만 홈페이지에 게재했을 뿐 피해 고객에 대한 개별 공지는 엄두도 못 내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정보유출에 연루된 한 카드사 관계자는 <연합>에 “고객들의 문의가 빗발치는데, 우리도 피해 규모가 어떤지 모르는 상황이어서 전혀 대응을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금감원은 검찰 자료를 토대로 한 특검을 통해 이들 금융사 정보 유출 경위와 피해 규모를 명확히 파악한 뒤 금융사가 피해 고객에 공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금감원은 정보 유출에 따른 대내외 비난을 의식해 금융사의 유료 정보보호 서비스 판매 자제를 요청했으나 현대카드는 ‘월권 행위’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신용정보 보호서비스는 코리아크레딧뷰로(KCB)나 나이스신용평가 등 신용평가사가 고객에게 신용정보 변동 내역을 문자메시지나 이메일로 알려주고, 명의보호·금융사기 예방 등 고객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유료 부가서비스다.
카드사들은 대부분 일정 기간 신용정보 보호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 뒤 유료 결제로 자동 전환하는 마케팅을 하고 있다.
정보유출 사고 후에 이를 둘러싼 논란이 불거지자 현대카드를 제외한 모든 카드사가 이 상품의 신규 판매를 중단했다. 끝까지 버티던 신한카드는 지난 13일 판매 중지를 선언했다.
관련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 이들 카드사마저도 영업을 재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유료 영업으로 논란을 일었던 KCB도 한달 간 무료 이용으로 돌리는 편법을 동원한 것으로 드러나 고객의 비난이 커지고 있다.
이 밖에도 한국씨티은행은 고객 정보 유출을 반성하기는커녕 카드사 정보 유출과는 상관이 없다는 공지를 홈페이지에 띄우며 ‘물타기 작전’에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한국씨티은행은 최근 자사 영업점 직원이 연루된 정보 유출 사고로 고객 정보가 3만여건 빠져나가 곤경에 처해있는 상황이다.
한국씨티은행은 공지문에서 “기소된 KCB 직원은 한국씨티은행의 고객 정보에 접근이 불가능했으므로 고객정보 유출은 원천적으로 없었음을 알려드린다”며 “고객은 걱정 없이 씨티은행을 계속 이용해주면 감사하겠다”고 설명했다.
- 檢, 채동욱 정보유출 국정원 개입 정황 포착
- KCB 고객정보 불법유출 1억건 사상 최대
- 檢, 또 정보유출? “윤상현, MB때 국정원 朴 비난 글 올려”
- 윤상현-檢 커넥션 의혹 .. 수사내용 또 유출?
- 기록관리단체協 “초본 삭제, 법률 위반 아니다”
- 軍, 군사기밀 30건 분실 관리실태 빨간불
- ‘회의록 불법유출’…57% “새누리, 대선때 활용”
- 김무성 ‘NLL 발언’ 유출자 색출 보고 메시지…카메라에 ‘포착’
- ‘일베’에 대구 사망 여대생 수사정보 유출 논란
- ‘군사기밀 유출’ 파문속 “전 기무사령관, 무기중개상 사장으로 근무”
- 금융당국 ‘공인인증서 무더기 유출’ 수사요청도 안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