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피해자 이미지로 국정원 수사 물타기 의도?
새누리당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가 또 다시 검찰이 수사 중인 내용을 유출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경향신문>에 따르면, 윤 수석부대표는 23일 기자간담회에서 “(이명박 정부 당시) 국가정보원이 박근혜 의원을 비난한 글도 있는데 검찰은 이에 대해서도 밝히라”고 말했다.
윤 수석부대표는 이어 “국정원은 4대강 사업, 세종시 문제에 대한 박 의원 입장을 엄청나게 비난하는 사이버 활동을 많이 했다”고 주장했다.
이는 검찰이 수사 중인 과거 국정원의 박 대통령 비방 댓글작업을 거론한 것으로 지난 검찰의 1·2차 공소장 변경 때도 미리 수사 내용을 설명해 수사기밀 유출 의혹을 받은 데 이어 3번째다. 따라서 윤 수석부대표의 ‘정보 출처’를 둘러싼 논란이 예상된다.
윤 수석부대표의 이 같은 발언에 대해선 박근혜 대통령을 피해자로 둔갑시켜 정부·여당에 쏠리는 국정원의 선거개입 부담을 ‘물타기’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국정원이 지속적으로 정치에 개입했다는 본질을 더욱 뒷받침하는 근거가 될 수도 있다.
윤 수석부대표의 잇따른 검찰 수사 내용 유출 의혹에 민주당 박용진 대변인은 24일 논평을 내고 “혹시 윤상현 수석과 이진한 서울중앙지검 2차장의 특수관계가 새누리당과 검찰수뇌부와의 불법적인 수사정보 공유 징검다리가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이미 윤석열 전 수사팀장도 공개석상에서 검찰내부 수사정보가 자꾸 새나간다며 우려를 표한 바 있다”며 “윤 수석은 이미 여러 차례 검찰의 수사상황을 보고받고 있음을 스스로 드러냈고, 정부 내 불법사찰의혹도 스스로 공개한 바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무성 의원의 대화록 원문에 가까운 낭독이 국정원 유출 협조 없이 이뤄진 것이라 믿기 어렵듯 윤 수석의 발언이 불법 공유 없이 이뤄진 것으로 보기 어렵다”고 거듭 의혹을 제기했다.
또한 그는 “공개된 정보에 따르면 두 사람은 모두 영등포고등학교 동문으로 1년 선후배 사이”라며 “친분관계는 알 수 없지만 모르는 사이라고 잡아뗄 수도 없는 일이다. 윤상현 수석은 어디에서 검찰 수뇌부의 중요 수사정보를 획득했는지 밝혀야 할 것이고 그에 대한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강하게 경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