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아시아판 ‘밀양사태’ 톱기사로 보도

“송전선 신설로 전통-현대 갈등 빚는 韓”.. 르포 기사로 생생히 전달

미국의 유력 일간지 <뉴욕타임즈>가 경남 밀양 송전탑 관련 르포 기사를 아시아판 톱기사로 다뤄 관심을 끌고 있다.

NYT는 “송전선이 신설되는 가운데 한국의 과거와 현재 사이의 충돌도 커지고 있다”는 제하의 기사를 통해 밀양 사태의 원인과 문화적인 배경까지 상세하게 설명하며 투쟁 중인 주민들의 모습을 생생히 담아냈다. (☞‘뉴욕타임즈’ 기사 원문 보러가기)

정의와상식을추구하는시민네트워크(정상추)는 31일 이같은 소식과 함께 NYT의 기자가 직접 현장을 찾아 취재한 형식으로 보도됐고, 단장면 동화전마을 입구에서 레미콘 차량을 막으려던 주민이 경찰에 둘러싸인 채 낙담하고 있는 모습을 메인 사진으로 담았다고 전했다.

NYT는 기사에서 밀양시에 속한 농촌마을들의 평화로움을 전하며 “현대의 한국사회가 -강압적으로 송전선을 건설하는 형식으로- 마을 주민들의 삶으로 잠식해 들어오고 있으며 이들의 묘지 터조차 위협 당하고 있다”고 전했다.

'뉴욕타임즈' 아시아판 캡처 화면
'뉴욕타임즈' 아시아판 캡처 화면

이어 “지난 2년간 마을 주민들은 분신자살, 서울에서의 시위, 그리고 심지어 마을 할머니들이 산 정상의 송전탑 건설현장에서 2년간 계속한 밤샘 시위 등을 통해 시위를 계속해왔다”며 “할머니들은 집에 다녀오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그곳에서 번갈아 잠을 자고 추운 겨울에는 석유난로로 몸을 덥히며 시위를 해왔다. 비닐로 덮힌 천막위에 그들은 태극기를 걸어 놓았다”고 상세히 보도했다.

또한 “우리 집안은 여기서 500년을 살아왔고, 우리 조상들도 모두 이 산에 묻혀있다”며 “나는 저런 쇳덩어리 괴물이 여기를 지나가게 할 수 없다. 나를 죽이고 가야할 것이다”는 78세 손희경씨의 인터뷰를 실어 주민들의 격앙된 심경을 전했다.

또한, NYT는 한 주민의 분신자살과 주민들의 필사적인 송전탑 반대 농성을 현장감 있게 묘사하며 이 문제가 단지 보상을 둘러싼 갈등이 아니라 한국에서 원전에 대한 반대 투쟁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해당 기사에 대해 정상추는 “주민들의 열악하고도 처절한 투쟁 모습을 스케치 하듯 그려내며 기사의 방점을 두고 있어 송전탑 사태에 대한 정권의 탄압이 국제적인 비난을 살 것으로 보인다”며 “뉴욕타임스가 한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부정선거와 수사압력, 밀양사태 등을 보도하고 있는 것은 박근혜 정권 아래에서 한국의 민주주의가 여러 분야에서 역행하고 있다는 국제적인 여론 때문인 것으로 보여 이번 기사도 정부에게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다음은 정상추 네트워크의 ‘NYT’ 기사 번역 전문
번역 감수 : 정상추 네트워크 소속 임옥

As Power Line Grows, So Does Fight Between Ancient and Modern Korea
송전선이 신설되는 가운데 한국의 과거와 현재 사이의 충돌도 커지고 있다

By CHOE SANG-HUN (최상훈 기자)
October 29, 2013

MIRYANG, South Korea — The traditional farming villages within Miryang city, like so many in South Korea, are nestled against forested mountains. Rice paddies spill out into the valley, and persimmon and apple orchards line the roads.
한국 밀양 - 밀양시에 속한 전통적인 농촌마을들은 한국의 많은 농촌들이 그러하듯 숲이 우거진 산을 배경으로 아늑하게 자리잡고 있다. 논이 계곡 속으로 뻗어져 있고, 감나무와 사과나무 과수원들이 도로변을 따라 있다.

Wooden farmhouses with their tile roofs were replaced long ago with concrete homes, but the rituals of a more ancient Korea remain. The farmers plan their lives around the growing seasons, and when they die, they are buried in plots that dot the mountainsides.
기와지붕의 목조 농가들이 현대식 주택으로 바뀐지는 오래지만, 옛 한국 의식의 많은 부분이 아직 그대로 남아 있다. 농부들은 농작물의 생장기를 중심으로 삶을 계획하고, 죽어서는 옛 풍습대로 산 기슭 무덤에 묻힌다.

Now, a more modern Korea — in the form of imposing electrical power lines — is encroaching on the villages, including their burial grounds. The villages lie in the path of a major transmission route expected to distribute nuclear-generated electricity. Already towers are built along the spines of some nearby mountains, and 50 more are scheduled to be built in Miryang, some of them in the mountains.
그런 와중에 현대의 한국사회가 - 강압적으로 송전선을 건설하는 형식으로 - 마을 주민들의 삶으로 잠식해 들어오고 있으며, 이들의 묘지터조차 위협 당하고 있다. 이 마을들은 원자력 발전으로 생성된 전기가 수송될 주요 송전 경로에 위치하고 있다. 이미 인근 산의 산등성이를 따라 송전탑들이 세워 졌으며, 밀양에서만 50개 이상의 송전탑들이 신축될 예정이고, 이중 일부는 산 속에 세워질 계획이다.

But not if some of the villagers have anything to say about it. For the past two years, the villagers have staged protests that included a rare self-immolation, demonstrations in Seoul and a two-year sleep-in by older women who have built tents on the tops of mountains on the plots the utility company cleared for some of the towers. The women take breaks to go back to their homes, but most of the women sleep there in rotations, warmed in the winter by kerosene heaters. They fly Korean flags from their plastic-covered shelters.
그렇지만 이 모든 계획은 주민들의 항의가 없어야 가능하다. 지난 2년간 마을 주민들은 분신자살, 서울에서의 시위, 그리고 심지어 마을 할머니들이 산 정상의 송전탑 건설현장에서 2년간 계속한 밤샘 시위 등을 통해 시위를 계속해왔다. 할머니들은 집에 다녀오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그곳에서 번갈아 잠을 자고, 추운 겨울에는 석유난로로 몸을 덥히며 시위를 해왔다. 비닐로 덮힌 천막위에 그들은 태극기를 걸어 놓았다.

“My family has lived here for 500 years, and all our ancestors are buried in these mountains,” said Sohn Hee-kyong, a 78-year-old rice farmer whose husband’s grave is nearby and who stays in the encampment. “I can’t let those steel monstrosities pass over here. Over my dead body.
”우리 집안은 여기서 500년을 살아왔고, 우리 조상들도 모두 이 산에 묻혀있다," 라고 78세의 농부 손 희경 씨가 말했다. 손씨의 남편의 묘가 근처에 있고 손씨는 천막에 거주하고 있다. "나는 저런 쇳덩어리 괴물이 여기를 지나가게 할 수 없다. 나를 죽이고 가야할 것이다."

The villagers’ standoff against the $166 billion state utility, th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or Kepco, has become a closely watched national news story; some news media report it in forensic detail, marking each time the company manages to place another tower — usually after it has paid enough compensation to nearby property owners to win their support. The story has grabbed headlines not only because it is a potent symbol of South Korea’s perennial struggle to reconcile its traditions with its hard-charging modern incarnation. The face-off has also made news because of a growing battle in South Korea over nuclear power.
1,660 억 달러 자산의 국영 기업체 한국 전력공사(Kepco, 이후 한전)와 마을 주민들이 교착상태에 있는 것은 국제적인 뉴스가 되어왔다; 어떤 뉴스 매체는 과학적인 수사를 하는 듯한 디테일을 보여주며 한전이 그 다음번 탑을 세우게 될 때마다 이를 보도하기도 했다 - 대개는 회사가 주민들로부터 지지를 얻기 위해 땅 소유주들에게 충분한 보상을 지불한 후에 진행된 일이었지만. 이 스토리는 탑뉴스가 되곤 했는데, 이는 단지 한국의 전통과 빠르게 일어나는 근대화를 조화시키려는 오래 지속된 노력을 명백히 보여주는 상징이 되고 있기 때문만은 아니다. 이 대결은 또한 한국에서 원자력발전을 두고 점점 커지는 논란으로 인해서도 뉴스가 되어왔다.

Support for nuclear power has been waning since the 2011 Fukushima disaster in Japan and after a series of scandals in South Korea revealed that plants nationwide included many parts whose safety-test results were faked.
2011년 일본의 후쿠시마 재앙이후 그리고 한국에서 연속된 스캔들로 전국의 원자력발전소에서 안전검사 결과가 조작된 많은 부품들을 사용한 것이 밝혀진 이후로 핵발전에 대한 지지는 줄어들어 왔다.

The villagers have become increasingly desperate to stop the transmission project. But the scandals have also made Kepco a bit desperate to move the project along. The nuclear plant that is expected to be hooked up to the new transmission line is an important test case for the now-sullied industry and the government, which have been counting on making nuclear plants a lucrative export. Two of the reactors at the plant are of a model that South Korea hopes will be a big seller.
마을 주민들은 송전탑 건설 계획을 중단시키기 위해 점점 더 필사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스캔들은 한전 역시 건설계획을 필사적으로 진행하도록 만들었다. 송전선으로 연결될 원자력발전소는 지금 비난 받고 있는 이 산업과, 핵발전소 건설을 수출하여 큰 이윤을 남기려는 정부에게 있어 중요한 시범 케이스이다. 발전소의 원자로 두 곳은 정부가 해외에 많이 팔게 되기를 원하는 모델이다.

Miryang is 174 miles southeast of Seoul, and a world apart. Compared with Seoul’s bustle, the villages that together house about 110,000 people are sleepy. Many of the young people have moved to South Korea’s increasingly wealthy cities. Some roads are so quiet that villagers dry their grains on them after the harvest.
밀양은 서울에서 동남쪽으로 174마일 떨어져 있으며 전혀 딴 세상이다. 번잡한 서울과 비교하여 약 11만 명의 주민들이 세대를 이뤄 사는 조용한 마을이다. 많은 젊은이들은 점점 부유해지는 한국의 도시들로 이주해 나갔다. 어떤 도로는 너무 한적해서 마을 사람들이 추수 후 그곳에서 곡식을 말리기도 한다.

Their fight with the national utility began in 2007, when Kepco began building the 56-mile overhead power line to be strung from 161 towers linking Gori, one of South Korea’s largest nuclear complexes, in an area straddling the border between Busan and Ulsan in the southeast, to a substation to the northwest.
2007년 한전이 남동쪽의 울산과 부산 사이의 경계지역에 위치한 한국의 가장 큰 원자력 발전소 중의 하나인 고리 발전소를, 북서부의 변전소에 연결시키는 161개의 송전탑들 사이의 56마일의 구간에 지상 송전선을 연결시키는 공사를 시작하면서 이 국영 전력회사와 마을주민들의 투쟁은 시작되었다.

At first, people here feared perceived health threats from the lines expected to carry 765,000 volts, and sharp drops in real-estate prices as the massive towers dotted mainly pristine mountains or passed near their villages. (Since farmers sometimes borrow against their homes and rice paddies to get loans they pay back after harvests, the value of their land is especially important.)
처음에는 이곳 사람들은 765,000볼트가 흐를 송전선이 건강에 위협을 준다고 믿고 두려워 했으며 자연모습 그대로인 산 속 여기저기에 세워지거나 그들 마을 근처에 위치할 거대한 송전탑 때문에 부동산 가격이 급격히 하락할 것을 염려했다. (농부들은 추수후에 되갚을 자금을 대출 받기 위해서 간혹 그들의 집이나 논을 담보로 잡히곤 하기 때문에, 토지가치는 특별히 중요하다)

They also worried about their burial sites; as in much of rural South Korea, worshiping ancestors is common here and protecting graves from anything deemed an impurity is a paramount duty for the living.
그들은 또한 그들의 묘지터에 대해서도 걱정을 했다; 한국의 많은 시골 지역들이 그렇듯 조상을 숭상하는 것이 이곳 마을에서도 흔한 일이며, 불경스러워 보이는 것으로부터 묘지터를 지키는 것은 살아 있는 사람들의 가장 중요한 의무이기도 하다

The fight intensified last year, when a 74-year-old farmer named Lee Chi-woo poured gasoline on his body and set himself on fire in Bora, one of the Miryang villages. Earlier that day, Kepco workers had begun building a tower on a rice paddy owned by Mr. Lee and his brothers while security guards pushed the protesting brothers off the site, confiscated against their will and at prices much lower than they wanted.
이치우 (74세)씨가 밀양 마을 중 하나인 보라마을에서 자신의 몸에 휘발유를 붓고 분신자살을 하며 싸움은 더 치열해졌다. 사건 당일 한전 직원들은 이씨와 이씨의 형제들이 소유한 논에 송전탑을 짓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저항하는 이씨 형제들은, 그들의 의지에 반하여 원하는 가격에 훨씬 못미치는 값에 빼앗긴 그 현장에 접근도 하지 못하도록 용역이 동원되어 막고 있었다.

With Mr. Lee’s suicide, more older villagers took to the hills, building huts at sites where Kepco planned to build the transmission towers, some as tall as 40-story buildings. Antinuclear activists poured into the villages by the busload, to support the villages and to bolster their own cause.
이씨가 자살하자 더 많은 마을 노인들이 들고 일어났으며, 한전이 40층 건물 높이의 탑을 포함한 다수의 송전탑들을 세울 계획이었던 자리에 움막을 지었다. 수많은 반핵 운동가들도 마을 주민들을 지원하고 원전반대를 하기 위해 희망버스를 타고 마을로 모여들었다.

As some people and villages in Miryang accepted Kepco’s compensation packages, resentment grew on both sides. Kepco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said the older protesters were impeding an important national project. Pro-government residents put up roadside banners denouncing outsiders for bringing antinuclear activism here and urging the villagers to “cooperate with the management of businesses and the state.” Competing banners scream “No to nuclear power!”
밀양의 일부 마을과 주민들이 한전의 보상 패키지를 받아들이면서 양 편 모두 분노가 커졌다. 한전과 산업통상자원부는 이 고령의 시위대가 중요한 국책 사업을 방해한다고 말하였다. 친정부 주민들은 길가에 현수막을 걸어 반핵 운동을 일으키는 외부인들을 비난하며 마을 주민들에게 “기업과 국가의 사업에 협력할 것” 을 요구했다. 이에 경쟁하는 현수막은 “원자력 반대!” 라고 외쳤다.

Rival neighbors within villages have stopped talking to one another, and some have had shoving matches that led to lawsuits.
마을 내에 의견이 다른 이웃들은 서로 말도 붙이지 않았으며, 어떤 이들은 물리적 충돌 후 법정소송으로 가기도 했다.

About a dozen of the Miryang villages are now the last holdouts. Of the 56-mile transmission line, Kepco has completed all but the 19-mile section that is supposed to pass through the villages and the nearby mountains.
약 12개의 밀양 마을들이 지금 마지막으로 저항 중에 있다. 약 56마일의 송전선 중에서, 한전은 이 마을과 근처의 산을 통과하기로 되어 있는 19마일을 제외하고는 모두 완성하였다.

During months of unsuccessful negotiations this year, villagers demanded that Kepco reroute the power line, bury it underground or lower the voltage of electricity it is expected to carry. The utility called the alternatives unfeasible and resumed construction in early October, starting with villages where it had earlier reached deals with residents.
성공적이지 못한 협상을 진행하는 지난 몇 달 동안 마을 주민들은 한전에게 송전선을 다른 곳으로 변경하거나, 지하에 매설, 또는 송전될 전력을 낮출 것을 요구했다. 한전은 다른 대안은 불가능하다며 시월초에 주민들과 협상에 성공했던 마을부터 공사를 재개했다.

Some Miryang residents have tried to block the trucks rumbling up nearby mountains to lay concrete for more towers, but the police have held the people back. Frustrated old women now resort to waving their canes at the passing trucks and launching tirades against police officers their grandchildren’s age. Some have tried to throw themselves in front of the trucks.
몇몇 밀양 주민들은 다음번 송전탑 건설을 위해 근처 산으로 콘크리트를 하역하려 들어오는 트럭의 진입을 막으려 시도했으나, 경찰은 이들을 저지하였다. 좌절한 할머니들은 지나가는 트럭을 향해 지팡이를 흔들어대고 손주 나이 정도의 경찰관들에게 비난을 늘어놓을 수 밖에 없었다.

Down the mountain from Ms. Sohn’s tent camp, where the forest has turned into an autumn tapestry, male villagers have begun standing guard. (Ms. Sohn, one of the women who lives at the encampment, calls the men, in their 60s, the “young ones.”)
가을 단풍으로 숲이 물든 산 속의 손씨의 텐트가 있는 아래에서 남자주민들은 경비를 보기 시작했다. (텐트에서 살고 있는 여성중의 한명인 손씨는 60대의 남성들을 "젊은이들"이라고 부른다)

On a recent day, the men stood behind ropes tied across the path leading to the outpost, smoking cigarettes and watching for construction workers they feared would come at any time. Three nooses dangled from nearby pine trees. “To hang them or be hanged,” the men said.
최근 어느날 보초를 서는 곳으로 가는 길목을 가로질러 쳐놓은 로프 뒤에 서서 남자들이 담배를 피며 언제 들이닥칠지 모르는 공사인부들이 오는지 지켜보고 있다. 세개의 올가미가 근처 소나무에 걸려있다. "그들의 목을 매거나, 아니면 우리가 목을 매기 위해서" 라고 남자들은 말했다.

The women have also taken a fatalistic turn, building trenches in front of their tents they say will serve as their own grave sites if the authorities try to remove them. Ms. Sohn said she recently tried to prepare her children for the worst.
여자들 또한 천막 앞에 만약 관계당국이 그들을 몰아내려고 시도할 경우 자신들의 무덤으로 사용하겠다며 도랑을 만들어 놓고 죽을 준비를 하고 있다. 손씨는 최근 자녀들에게 최악의 경우를 대비하라고 했다고 말했다.

“When they called me the other day, I said I will die fighting,” she said. “That way, I would be less ashamed when I met my dead ancestors.”
"요전에 애들이 전화했을 때, 나는 싸우다가 죽을 것이라고 말했다,"라고 손씨는 말했다. "그래야 돌아가신 조상님들을 만났을때 내가 덜 부끄러울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