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한 목소리로 ‘환영’…朴, 추석 이산가족 상봉 제안
남북이 14일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합의문 채택에 성공하면서 개성공단 사태가 133일 만에 극적 타결됐다. 이견으로 평행선을 달리던 협상은 남북이 한 발씩 물러나면서 합의를 이끌어 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14일 오후 7시께 김기웅, 북측의 박철수 수석대표는 “남과 북은 통행 제한 및 근로자 철수 등에 의한 개성공단 중단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하며, 어떠한 경우에도 정세의 영향을 받음이 없이 남측 인원의 안정적 통행, 북측 근로자의 정상 출근, 기업재산의 보호 등 공단의 정상적 운영을 보장한다”는 합의서에 서명했다.
이날 실무회담에서 남북은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를 구성하고 개성공단과 관련한 모든 문제를 양측 당국이 함께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피해 기업들에 대한 보상도 논의될 전망이다.
정부는 지난 6차 회담까지 “북측이 일방적인 조치가 없을 것이란 점을 보장하라”고 요구해왔고, 북한은 남쪽의 군사적 위협과 정치적 언동 등을 거론하며 책임 공방을 벌이기도 했다.
이렇듯 좀처럼 좁혀지지 않을 것 같은 협상은 남북이 한 발씩 물러나며 타결의 물꼬를 트게됐다. 우리 정부는 개성공단 사태의 원인을 북한으로 명문화하는 일에 대해 이같은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주체를 남북 공동으로 하기로 양보했다.
다만, 남측의 안정적인 통행과 북측 근로자 정상 출근, 기업 재산 보호 등 북한이 취할 핵심적인 조치를 명기해 책임을 명확히 했다.
유지와 폐쇄의 갈림길에 놓여있는 개성공단 문제의 극적인 타결에 여야는 한 목소리로 환영의 뜻을 밝혔다.
새누리당 유일호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계속되는 무더위에 고생하고 있는 우리 국민에게 마치 가뭄에 단비와도 같은 청량한 소식이 아닐 수 없다”며 “협상 타결을 이끌어낸 정부 관계자들에게 격려를 보내고 지금껏 마음 졸이며 개성공단 재가동을 기다려온 입주기업 관계자들께도 축하의 박수를 보낸다”고 밝혔다.
민주당 배재정 대변인도 “개성공단 정상화 타결이 이뤄진 것을 개성공단 입주기업인들, 그리고 국민과 함께 환영한다”며 “이번 타결이 안정적인 개성공단 운영 재개를 이끄는 신호탄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배 대변인은 이어 “우선 개성공단 재가동 날짜가 지정되지 않은 문제를 빨리 해결해 입주기업의 불안감을 종식시키고 가동중단으로 발생한 입주기업의 피해에 대한 실질적 지원을 통해 정상적인 경영복귀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은 15일 광복절 경축식에서 “개성공단 정상화 합의를 계기로 과거 남북 관계의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고 상생의 새로운 남북관계가 시작되길 바란다”면서 추석 전후로 이산가족 상봉을 제안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