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오늘>, 정부 주장 검증이 언론의 의무…‘받아쓰기’ 보도 비난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유출되는 방사능에 대한 불안감이 연일 커지고 있는 가운데 조선일보 등 일부 언론의 정부측 입장 그대로 받아쓰기식 보도행태가 ‘방사능 괴담’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4일 <미디어오늘>은 <“일본 방사능 괴담 대부분 거짓”이란 보도 믿어도 될까?>라는 제하의 기사에서 “(방사능)괴담이 퍼지는 이유는 정보를 제공해야 할 사람들이 설득력 있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서”라면서 이와 관련 조선일보 7월 31일 자 <황당한 日 방사능 怪談(괴담) 나돌아…정부는 “대부분 거짓”>이란 제목의 기사는 아쉬움이 남는다고 지적했다.
<미디어오늘>은 조선일보가 ‘일본 방사능 괴담’과 관련 사실과 다르다고 밝힌 주요내용 등에 대해 “정부해명을 근거로 괴담을 반박했지만 그 근거가 충분치 않은데다 해명 중에서도 여전히 논란을 해결하지 못하는 것이 많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더욱이 괴담이 나돌 정도로 국민의 상당수가 정부를 믿지 못하는 상황인데 정부 측 입장만으로 괴담을 잠재우려 한 점도 국민을 안심시키겠다는 기사의 취지와 맞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조선일보는 해당 보도에서 ‘일본 영토의 70% 이상이 세슘에 오염됐고, 국토 절반이 이미 고농도 방사능으로 오염됐다’는 주장에 대해 “오염됐으면 당연히 통제구역으로 설정됐을 것”이라는 원자력안전위의 입장을 전했다.
이에 대해 <미디어오늘>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의 2011년 12월6일자 리포트에 실린 일본 방사능 오염지도를 토대로 “후쿠시마를 비롯해 일본 본토와 홋카이도 지역까지 토양에서 세슘 137이 드러났다”면서 “해당지도를 보면 눈으로 봐도 3분의 2이상은 오염된 것을 알 수 있다”며 해당 주장은 근거가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보도했다.
또한 ‘일본정부가 방사능 정보를 엄격하게 통제하고 있다’는 것과 관련 조선일보는 “사실이 아니다”라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입장을 그대로 전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일본의 비판적 지식인 야마모토 요시타카는 그의 저서 <후쿠시마, 일본 핵발전의 진실>에서 “한 기에 수천억엔에 달하는 원자력발전 건설비용과 교부금이 원자력발전 건설업계에 흘러들어가고, (돈의)일부는 정치가들에게 들어간다”고 주장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반핵 운동가들은 도쿄전력과 일본정부, 그리고 일본 과학계를 묶어 ‘원전 마피아’라 칭한다”면서 “어떻게든 핵발전소를 운영하고 싶어 하는 원전 마피아들이 불리한 정보를 쉽게 공개할 리 없다”며 ‘사실이 아니’라는 조선일보 보도를 조목조목 반박했다.
이밖에도 조선일보는 ‘일본에서도 못 먹는 방사능 오염식품이 한국으로 수입되고 있다’, ‘우리나라 명태의 90%이상이 일본산이다’, ‘일본산이 러시아산으로 둔갑해 국내로 들어온다’는 ‘괴담’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는 정부측 입장을 대변하기에 급급했다.
<미디어오늘>은 또 <조선>이 최근 누리꾼들에게 화제가 되고 있는 독일 공영방송 ZDF의 다큐멘터리 <후쿠시마의 거짓말>편에 대해 “‘지진 전문가 등을 통해 후쿠시마에 또다시 쓰나미급 지진이 올 경우 나머지 원전들도 안전하지 않다고 경고를 담고 있다’고만 설명했다”면서 그러나 이는 “다큐멘터리의 핵심 내용은 비껴간 설명”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ZDF는 후쿠시마 사고와 관련된 인물을 차례차례 인터뷰하며 원전에 대한 안전불감증과 문제 은폐 등을 낱낱이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본과 9000km 가까이 떨어진 ZDF도 언론의 역할에 충실했는데 한국의 언론은 어떤가”라고 반문하며 “(한국언론은)국민들이 불안해하면 정부 발표 자료에 의문을 갖고 취재를 거듭해야 하지만 받아쓸 뿐”이라고 꼬집었다.
또, “한국은 후쿠시마 사고 이후 저농도의 피폭 상황에 높여 있을 확률이 높다”고 전하며 “1986년 체르노빌 핵발전소 사고 이후 수십 년에 걸쳐 벨로루시 등 주변 국가들의 암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미디어오늘>은 아울러 “수십년 뒤 국민들의 암 발생률이 증가 한 뒤 원인을 따질 때는 이미 늦었다”고 경고하며 “정부 측 자료를 근거로 괴담을 막으려 했는데 괴담이 여전하다면 이제는 정부 측 주장을 검증해야 하는 게 언론의 의무”라고 일침을 날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