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서초구 ‘지하통로’ 특혜 줘…삼성, 피해예방 등 사회환원해야”
문승국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여름 장마철 강남역의 상습 침수와 관련 삼성이 도의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고 15일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문 부시장은 이날 오전 열린 ‘2013 서울시 수해안전대책’ 설명회에서 “강남역 사거리에 삼성전자 건물이 들어오기 전 하수관로 설치 계획이 있었는데 건물을 지으면서 하수 관로가 휘는 등 변경이 됐다”고 주장했다.
문 부시장은 서초구청의 건물 건립 허가 과정에 대해 감사 후 고발조치를 했다고 밝히면서 “합법적인 허가로 치더라도 삼성이 침수에 대한 도의적 책임에 대해서는 대응해야 한다는 바람이 있는데 잘 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환경연합과 시민환경연구소는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누하동 환경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강남역과 삼성전자를 연결하는 지하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서초구가 하수관로 노선을 무리하게 설계변경을 했다”고 자체 감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2010년 이후 해마다 계속된 강남역 침수의 주요 원인은 강남역과 삼성전자 사옥을 잇는 지하연결통로 때문”이라며 “240억원의 예산으로 침수피해예방사업을 수행했음에도 강남역 일대가 상습침수피해지역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설계변경 없이 당초 기본계획에서 제시한 노선을 바탕으로 공사를 했으면 강남역 일대에서 침수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면서 “계획단계에 있는 삼성전자의 연결통로를 서초구가 우선적으로 설계에 반영함으로써 삼성에게 엄청난 특혜를 줬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결과적으로 삼성은 지하통로를 이용해 상가를 활성화하는 등 공유지를 이용해서 사유지의 가치를 높였다”며 “이득을 얻은 만큼 사회에 환원해 강남역 일대의 상습 침수 피해를 예방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만약 삼성이 이러한 사회적 요구를 무시할 경우 올해 강남역 일대에 침수피해가 또 발생하면 삼성의 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쿠키뉴스>에 따르면 이에 대해 서초구는 “삼성전자 사옥과 강남역을 연결하는 지하보도는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를 거쳐 승인됐다”며 “강남역 일대가 주변보다 해발고도가 낮은 분지라는 지형적 특성이 상습침수의 근본 원인”이라고 해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