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보훈청, 5·18청소년수상작 ‘사전 검열’ 논란

‘피’ 표현했다고 교체요구…민주 “부당한 압력‧지시 밝혀라”

올해로 9회째를 맞는 5․18민중항쟁 기념 청소년 문예공모전에서 서울지방보훈청이 수상작 일부를 교체해 달라고 요구해 논란을 빚고 있다.

3일 <경향>에 따르면, 공모전을 주관하는 5․18민중항쟁 서울기념사업회는 “수상작 발표를 하루 앞두고 서울지방보훈청에서 우수상 수여 작품 9점 중 2점의 교체를 요구해왔다”고 밝혔다.

기념사업회는 이날 오전 홈페이지를 통해 공모전 최종 수상작을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현재는 수상자 발표가 보류된 상태다.

5․18민중항쟁 서울기념사업회 김용만 사무총장은 ‘go발뉴스’에 “현재는 수상자 발표를 보류중이지만 이 대회를 지켜내기 위해서라도 보훈청의 요구를 그대로 수용하기 어렵다”면서 “보훈청에서 끝까지 문제 삼을 경우, 아마도 보훈청장상 자체를 거부하는 쪽으로 가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5․18민주화운동을 주제로 수도권 청소년들이 글과 그림, 사진을 응모하는 이 공모전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장(3명)이, 최우수상은 서울․경기․인천교육감(각3명)이, 우수상은 5․18재단 이사장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서울지방보훈청장(각9명)이 각각 수여한다.

보훈청이 교체를 요구한 작품 2점은 초등학생이 그린 그림 1점과 중학생이 쓴 시 1점이다. 해당그림에는 위쪽 상단 3분의 2이상이 군인이 총을 들고 눈물을 흘리고 있고, 아래쪽에는 군인들이 탱크와 함께 총을 쏘고 있다. 그 옆에는 붉은 머리띠를 두르고 있는 시민이 군인의 총에 맞아 피를 흘리고 있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올해로 9회째를 맞는 5․18민중항쟁 기념 청소년 문예공모전에서 서울지방보훈청이 수상작 일부를 교체해 달라고 요구해 논란을 빚고 있다. ⓒ 5․18민중항쟁 서울 기념사업회
올해로 9회째를 맞는 5․18민중항쟁 기념 청소년 문예공모전에서 서울지방보훈청이 수상작 일부를 교체해 달라고 요구해 논란을 빚고 있다. ⓒ 5․18민중항쟁 서울 기념사업회
이와 관련 김용만 사무총장은 “보훈청에 갔을 때 보훈청 담당 팀장이 그 부분을 손가락으로 적시하면서 ‘이런 부분은 안 된다’고 얘기했다”면서 “(그림의 내용은)이미 만천하에 공인된 역사적 사실인데 이게 왜 보훈청에서 인정하는 5‧18 정신에 위배된다는 것이냐고 항의 했지만 ‘이건 무조건 안 된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시는 5월의 봄 풍경을 그리며 ‘피냄새’, ‘총성소리’ 등의 표현을 썼다. 김 총장은 이에 대해서도 “광주 5‧18을 이야기 하는데 ‘총성’이 빠질 수 없다. 또 수많은 무고한 ‘피’가 흘렀는데 그 부분을 문제 삼아 보훈청장상을 못 주겠다면 도대체 보훈청은 진실을 덮어야만 5‧18정신이라고 생각하는 거냐”고 반문하며 “만약 그게 사실이라면 최근 일본 아베 총리의 망언과 다를 바 없다”고 비판했다.

보훈청이 이러한 요구를 하는 데에는 지난해 이 대회에서 보훈청장상을 받은 ‘29만원 할아버지’란 제목의 초등학생이 쓴 시가 이슈화되면서 보훈청이 상급 기관의 압박을 받았기 때문이라는 의혹이 제기됐다.

김 사무총장은 이와 관련 “지난 2~3월에 보훈청과 상장 개수를 줄이는 문제로 이야기를 할 때 (보훈청 관계자가)실수로 해 버린 말 같다”면서 “지난번에 그것(29만원 할아버지)때문에 고생 했으니 알아달라는 식으로 하소연 비슷한 이야기를 하는 분위기에서 그쪽도 의도하지 않았던 이야기가 흘러나온 것 같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서울지방보훈청의 한 관계자는 ‘go발뉴스’에 “전혀 그런 일이 없다”고 반박했다.

수상작 일부 교체 요구와 관련, 이 관계자는 “국가보훈처가 지향하는 방향성과 맞지 않아서 의견을 제시했을 뿐”이라면서도, 어떤 부분이 맞지 않느냐는 질문에 “해명 자료가 나갈 예정이다. 해명 자료는 오늘(3일)이나 내일 중으로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문제가 된 해당 작품에 대해 보훈청장상을 수여할 수 없다는 입장인지 재차 묻자 “그 부분은 말씀 드릴 수 있는 부분이 아니”라고 말했다.

한편 보훈청의 이같은 입장에 민주통합당 김현 대변인은 이날 오전 현안 브리핑을 통해 “서울지방보훈청은 5‧18 수상작에 대한 사전검열에 대해 국민 앞에 사과하고, 심사위원들의 공정한 판단을 존중할 것”을 촉구했다.

김 대변인은 “쓰라린 역사의 아픔을 순수한 눈으로 바라본 청소년의 예술작품을 정치적 색안경을 쓰고 재단하려는 서울지방보훈청의 행태야말로 불순하다”면서 “국가보훈처는 서울지방청의 요구에 부당한 압력이 있었는지, 누구의 지시였는지 소상히 파악해 관련자에 대해 징계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18민중항쟁 기념 청소년 문예공모전의 수상작은 김준태 시인(전 5·18기념재단 이사장)과 박진화 민족미술인협회 회장 등 전문가들이 예·본선 심사를 거친 작품들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