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노사간 대화 협의전 제작‧배포…즉각 수거하라”
경남도가 진주의료원 노조를 비방하는 내용의 전단을 대량 배포한 것으로 드러난 논란이 일고 있다. 이는 진주의료원 노사가 병원 정상화를 위한 대화를 이어가고 있는 중에 벌어진 일로 노조측은 경남도가 기만적이고 이중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30일 <프레시안>에 따르면, 경남도 진주의료원 태스크포스(TF)는 지난 19일 진주의료원 노조를 ‘병원 정상화에는 의지가 없는 귀족 노조’라고 비방하는 내용의 전단 10만장을 제작해 배포했다.
전단은 ‘다중집합지설이나 민원실 등에 전단을 비치해둘 것’이라는 경남도의 공문 요청에 따라, 도내 18개 시․군에 살포됐다. 이 과정에서 일부 통장들까지 직접 나서 아파트 단지 게시판 등에 전단을 붙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남도는 전단에서 “진주의료원은 노조의, 노조에 의한, 노조를 위한 노조 공화국이 됐다”며 “폐업에 따른 시위 참여 열정의 반만이라도 의료원 자구책 마련을 위해 노력했다면 지금의 사태에 이르지 않았을 것”이라고 노조를 비판했다.
경남도 복지노인정책과 TF팀의 한 관계자는 30일 ‘go발뉴스’에 “노조측에서 먼저 비슷한 형태로 홍보물을 만들어 배포 했다. 그에 대한 대응자료로 만들어 배포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는 한 달간 진주의료원 폐업을 유보하기로 하고 노사가 대화국면에 들어간 사이에 벌어진 일이라 노조측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에 대해 경남도 관계자는 “노조와 대화하기로 합의한 것이 4월 23일자다. 전단지를 제작해서 배포한 것은 4월 19일자”라면서 “노사간 대화가 협의되기 전에 제작해 배포된 것이다. 시기상으로 배포가 먼저”라는 입장이다.
경남도의 이같은 입장에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유지현 위원장은 ‘go발뉴스’에 “대화 합의 전에 전단지가 배포됐다면 현재는 대화국면이기 때문에 대화에 걸림돌이 될 수 있는 이 전단지는 다시 수거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그러면서 “전단지를 수거하든지, 대화국면이라는 것을 도민들이 알 수 있는 전단지를 다시 만들어 재배포 해야 한다”며 "이같은 내용을 담은 항의 공문을 도에 공식적으로 보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2월 26일 경남도가 진주의료원을 폐업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두 달 사이 총 22명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30일 보건의료노조는 폐업 발표 이후 진주의료원에서 입원 중 사망한 환자는 13명이고, 전원 조치 후 사망한 환자는 모두 9명이라고 밝혔다.
보건의료노조가 파악한 현재까지의 사망자는 지난 18일 뇌졸중으로 사망한 왕일순(80‧여)씨를 비롯해 이모(68·남‧급성호흡부전증·3월14일 사망)씨, 한모(29·남‧충수암·3월30일 사망)씨, 이모(89·남‧폐암·4월18일 사망)씨, 이모(74‧남‧폐암‧4월20일 사망)씨, 서모(73·남‧간암·4월22일경 사망)씨, 홍모(69·남‧다발성 뇌경색·4월23일경 사망)씨, 최모(61·여‧루게릭·4월27일 사망)씨, 신모(88·남‧뇌경색 사망)씨다.
유지현 위원장은 “두 달 사이에 22명이나 돌아가셨다는 것은 진주의료원 폐업 사태 이후 알게 모르게 영향을 받은 것 아니겠냐”며 “돌아가신 분들이 연세도 많으시고 중증환자이기는 하지만 하루를 더 살 수 있을지는 누구도 모르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환경변화를 포함, 이동 자체에서 주는 스트레스가 (사망에)영향을 미쳤다밖에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
국회는 29일 열린 본회의에서 진주의료원 정상화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재석의원 201명 중 찬성은 125명, 반대 32명, 기권 44명이었다. 결의안은 “정부는 진주의료원이 정상화될 수 있도록 조속하고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진주의료원 관계 당사자들은 회생을 위한 적극적인 대화를 통해 원만한 합의를 이끌어 내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