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부유층 맞춤형 상품일뿐”…SNS “학부모 구속수사해야”
이명박 정권시절 한 학부모가 국제중학교에 가려는 초등학생 자녀의 성적 수정을 요구해 한 반 전체가 성적을 다시 평가한 일이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국제중이 초등교육뿐만 아니라, 유치원 교육까지 파행시키는 주범이 되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교육당국의 무책임한 관리감독이 사태를 키웠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24일 <한국일보>에 따르면, 서울의 한 초등학교 A교사는 2011년 이 학교 5학년이었던 B양의 국제중 진학을 돕기 위해 B양의 반 전체가 평가를 다시 받고 성적표를 수정했다고 폭로했다.
B양의 학부모는 딸이 1학기에 미술 등 3개 영역에서 ‘매우 잘함’이 아닌 ‘잘함’을 받자, 국제중 1단계 서류전형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전 영역에서 ‘매우 잘함’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해 학교에 성적표 수정을 요구했다.
이 학부모는 “교사가 평가를 엉망으로 했다”며 유명 법무법인과 대통령까지 들먹이며 학교측을 압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학교측은 2학기 시작 후 B양의 반 전체에 실기평가 과제를 새로 내도록 했고 B양은 마침내 10개 과목의 모든 영역에서 ‘모두 잘함’ 성적을 받아 국제중에 진학했다.
심지어 학부모들은 국제중 진학을 위해 학교생활부를 고쳐달라거나 수상 실적을 적어내기 위해 정규 수업과 동떨어진 교내 대회 개최를 요구하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A교사에 따르면, 이 학교는 2010년에도 국제중 입학을 준비 중이던 6학년 C양의 무단결석을 없던 일로 처리했다. 한 쪽 부모를 따라 미국에 한 달 간 머물렀던 C양은 결석 처리해야 맞지만, 역시 ‘국제중을 보내야 한다’는 학부모의 요구에 출석한 것처럼 생활기록부를 조작했다고 <한국일보>는 보도했다.
박 회장은 또 “교육은 누구나 보편적으로 누려야 할 권리이고 국가에서도 누구도 낙오되지 않고 보편적으로 가르쳐야 할 의무가 있는 공공재”라면서 “이를 부모의 경제적 능력 등으로 인해 더 고가의 학교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은 학교의 공공성 정신에 위배된다”고 꼬집었다. 이어 “(국제중은) 일부 학부모들의 삐뚤어진 욕망을 부추기고, 특권 계층을 유지하기 위한 맞춤형 상품”이라고 비판했다.
김형태 서울시 교육의원은 ‘go발뉴스’에 “사립학교의 장삿속 운영과 부유층의 특권을 이용한 반칙이 허용되는 것은 교육당국이 지도감독을 제대로 못했기 때문”이라며 “교육당국의 책임이 가장 크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학교만 설립하게 해주면 사배자(사회적배려대상자)20%, 경제적으로 어려운 20% 학생을 학비 걱정 없이 학교 다니게 해주겠다는 것이 대원과 영훈국제중의 설립조건이었다”면서 “결과적으로 학교를 설립해 주니까 이를 이행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원이나 영훈국제중이 사배자 20%에 대해 학비를 부담할 의사가 전혀 없어 보인다”며 “오히려 이를 교육당국에 떠넘기고 있어 사학재단이 부담해야 할 20%를 시민의 혈세로 교육당국이 부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네티즌들은 “이미 교육현장이 몇 명만을 위해 나머지 수십명은 들러리로 전락된 지 오래”(mir******), “서민의 그림떡 국제중 폐교 시켜라. 부정에 가담한 학부모 구속 수사하고 징역 10년은 때려야 한다”(*교), “저런 편법으로 명문대에 진학하는 아이들이 결국은 우리사회의 지도층이 될거라는 생각을 하니 우리나라의 미래가 정말 참담하다”(봄*), “그러면 B,C 양 외에 있는 학생들은 뭐야? 그러면 내 아들은 저런 애들로 인해 등외 처분 당했다는 거 야냐? 이명박근혜는 이 불공정을 어떻게 생각하고 계신지? 답 좀 해주시길...”(***주시길), “도덕 점수를 빵점으로 수정해라”(성**)라며 강한 불만을 토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