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24시간 강제영업 반대” 63%
국민 10명 가운데 8명 이상은 대형마트 영업을 규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참여연대와 민주통합당 원혜영·김용익 의원은 21일, 지난 11일부터 이틀 간 실시한 편의점과 대형마트 영업 행위와 관련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우선 응답자의 85.8%는 대형마트 영업시간 제한 및 의무휴업제도에 대해서 현행 제도를 유지하거나 더 강화해야 한다고 답해 지역상권을 지켜야 한다는 데 적극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67.1%가 유통재벌·대기업들의 도매업 진출 규제에 대해서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경제 활성화와 경제민주화를 위한 정책들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서울시의 ‘대형마트 판매 품목 제한’에 대해서는 찬성(37%) 보다 반대(54.4%)의견이 많아 소비자들이 불편을 토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래시장·동네상권 살리기 위해 재래시장 등을 더 적극 이용하자는 의견에 56.6%가 공감하고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골목상권 침해로 몸살을 앓고 있는 문구점, 편의점 자영업자들의 문제에 대해서도 과반수가 넘는 응답자가 공감한다고 답해 눈길을 끌었다.
판매처를 기준으로 문구점에서만 식품판매를 금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51.8%였고, 편의점 24시간 영업시간 강제와 관련해서는 응답자의 62.5%가 편의점 사정에 따른 자율실시를 해야 한다고 답했다.
한편, 새누리당 일각에서 추진하는 기업 배임죄 완화에 대해서는 응답자 대다수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처벌 완화를 찬성하는 의견은 12.4%에 불과하고 현행 유지는 38.6%를, 처벌 강화 의견은 41.4%였다.
이와 관련, 참여연대는 “우리 국민들이 대체적으로 유통재벌·대기업에 대한 강력한 규제와 지역경제 활성화, 경제민주화를 위한 정책들을 적극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참여연대는 “문구점, 편의점주들의 고통과 관련해 국민 과반수 이상이 그들의 호소에 공감하고 있다”며 “정부는 지역 자영업자들을 보호하고 그들의 생존권과 지역 경제의 활력을 위한 정책을 적극 펼쳐나가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우리리서치가 전국 20세 이상 성인남녀 1천 1명을 선정해 실시했으며,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1% 포인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