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측의 ‘노조 무력화’ 공작, 도 넘어…묵과 않을 것”
민주언론시민연합, 언론개혁시민연대, 전국언론노동조합은 18일 “OBS를 파국으로 몰고 가는 윤승진 사장을 규탄한다”며 “1만5000 언론노동자와 언론단체들은 윤 사장의 그릇된 노조관과 경영관을 더 이상 묵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력히 주장했다.
언론단체들은 이날 경기도 부천시 OBS 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OBS의 노사 교섭 결렬의 모든 책임이 OBS 윤승진 사장에게 있다”며 이같이 규탄했다.
OBS 경인TV는 올해 방송사업자 재허가 심사를 앞두고 재정난에 봉착하며 증자가 유일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노-사 간의 문제 해결 시각이 엇갈려 난관에 봉착하고 있다.
현재 노조가 파업을 접고 업무에 복귀한 지 4주가 되어가지만, 파업에 참여했었던 조합원 50여명이 업무 대기 상태에 있다.
언론단체는 “교섭 과정에서 노조는 시간외 수당 등 법정 수당에 대해 큰 폭의 양보안을 제시했다. 교섭이 타결되는 듯 했지만 사측은 돌연 파업에 참가한 OBS지부 조합원들을 업무에 복귀시킬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노조에게 체불 수당에 대한 진정 및 소송의 취하를 요구했고 심지어 ‘향후에도 문제 제기를 하지 않겠다’는 동의서를 개별 조합원 모두에게 받아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노조를 무력화시키기 위한 사측의 공작도 상식과 도를 넘어섰다. 파업에 참가하지 않은 사원들에게 특별 보너스를 지급하고 대체 인력으로 투입됐던 프리랜서들에게 인건비를 더 쓰면서까지 여전히 프로그램을 맡기고 있다”며 “사측은 ‘노조 무시하기’로 일관하며 대화의 여지를 스스로 닫아버린 셈이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윤승진 사장을 OBS 정상화에 역행하는 인물로 규정하며 “조합원들을 업무에서 배제해 OBS의 경쟁력을 추락시키고 있고 ‘콘텐츠 경쟁력 강화 노사 공동위원회’를 구성하자는 노조의 요구도 철저히 외면했다”며 “윤 사장의 그릇된 노조관과 경영관을 더 이상 묵과하지 않겠다. 그 피해가 OBS 지부 조합원들과 경인지역 1,500만 시청자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가고 있기 때문”이라고 비난했다.
이들은 이어 “윤 사장이 안하무인식 태도를 고집하는 한, 윤 사장 퇴진을 위한 투쟁에 나설 것”이라며 “OBS 조합원들의 업무 복귀 및 독립적 지역민영방송으로서의 OBS 정상화를 위해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언론노동자와 언론단체들은 부당 노동행위에 대한 법적 대응을 비롯해 OBS지부의 향후 투쟁에 강고하게 연대할 것”이라며 “사회적 여론 조성에 적극적으로 나서 언론노동자와 시민의 힘으로 OBS를 반드시 바로 세울 것이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