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대통령 중 처음으로 추모사 보내…고상만 “진실은 반드시 밝혀져야”
영원한 독립군이자 민주주의자인 故 장준하 선생의 서거 42주기 추모식이 17일 엄수됐다. 문재인 대통령은 “오직 국민을 위한 나라, 남과 북이 평화롭게 화합하는 한반도를 이루는 것이야말로 선생의 후손으로서 감당해야 할 소명임을 깊이 되새긴다”며 고인에 대한 존경을 표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에 위치한 장준하 공원에서 진행된 추모식에서 피우진 국가보훈처장이 대신 낭독한 추모사를 통해 “장준하 서거 42주기를 맞는 오늘 이 자리가 조국의 광복과 민주주의를 위해 신명을 바친 선생의 위업을 받들고 고귀한 정신을 계승해 국민통합을 이루는 소중한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이같이 밝혔다.
“돌베개를 베고 풍찬노숙을 마다하지 않았던 선생의 전 생애는 애국을 향한 대장정이었다”고 평가한 문 대통령은 “42년전 오늘, 국민은 가슴 치는 비통함을 딛고 선생의 길을 잇자는 각오를 다졌다. 그렇게 장준하 선생은 정의와 평화, 민주주의를 갈망하는 모두에게 꺾을 수 없는 자긍심이자 지표가 됐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국민은 장준하와 함께 승리했다. 친일과 독재세력이 그토록 감추고 없애려 했던 평화와 정의, 민주주의를 향한 선생의 의지와 충정은 87년 6월 항쟁의 함성으로, 2016년 촛불혁명의 불꽃으로 기어이 다시 살아났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하지만 우리에겐 선생에 대한 죄송함과 부끄러움이 남아있다. 서거하신 지 42년이 흐른 지금도 선생을 우리 곁에서 빼앗아간 죽음의 진상을 제대로 규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안타까운 마음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어 “저는 2015년 서거 40주기를 맞아 ‘죽음의 진상을 규명하는 일은 정파와 이념을 초월해 모두가 함께 풀어야할 역사적 과제’라고 말씀드렸다. 그와 함께 ‘장준하특별법’ 제정을 추진했다”며 “진상을 규명하지 않고서는 선생이 꿈꿨던 평화로운 나라, 진정한 국민통합의 시대로 나아가기 어렵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선생이 평생을 바쳐온 애국의 가치도 바르게 세워야 한다. 해방 이후 지금까지 친일과 독재 세력이 왜곡하고 점유해온 애국의 가치를 재정립해야 한다”며 “공정하고 정의로운 대한민국을 향한 길은, 장준하 선생을 비롯한 애국선열들, 국가를 위해 각자의 자리에서 헌신한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을 온전히 기릴 때 더욱 굳건해질 수 있다고 믿는다”고 밝히기도 했다.
“선생께서도 대한민국이 나아갈 길을 밝혀 주시고, 어려움을 헤쳐 나갈 지혜와 용기를 주시리라 믿는다”고 밝힌 문 대통령은 “한없는 존경과 추모의 마음을 바치며 평안한 안식을 기원한다”며 추모사를 마무리했다. 이날 취임 100일 기자회견과 겹쳐 참석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는 문 대통령은 현직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추모사를 보낸것으로 알려졌다. 이낙연 국무총리도 조화를 보냈다.
이날 추모식과 관련, 과거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에서 ‘장준하 의문사 사건’을 조사했던 고상만 인권운동가는 전날 페이스북에 “장준하 선생님을 비롯한 과거 권력하에서 억울하게 목숨을 빼앗긴 이들의 진실은 반드시 밝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추모식을 페이스북을 통해 네티즌들에게 중계하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의 김홍걸 국민통합위원장과 김해영 의원도 이번 추모식에 참석했다. 김해영 의원실은 “42주기라는 뜻깊은 날을 맞아 장준하 선생의 뜻을 기리며 앞으로도 특별법의 통과와 과거사에 대한 진실규명을 위해 취선을 다하겠다”는 각오를 페이스북에 게재했다. 김 의원은 지난해 8월 ‘장준하 사건등 진실규명과 정의실현을 위한 과거사 청산특별법안’을 대표발의한 바 있다.
이른바 진실정의위원회를 설치하고 1945년 8월 15일부터 1998년 2월 23일까지 헌정질서 파괴 등 위법 또는 현저히 부당한 공권력의 행사로 인해 발생한 사망, 상해, 실종 사건 등에 대한 진실규명에 나서는 것을 골자로 하는 이 법안은 김 의원을 비롯한 당시 야당, 무소속의원 47명이 공동발의했지만 현재 국회에 계류중이다.
앞서, 장 선생은 지난 1975년 경기도 포천 약사봉 등반 도중 서거했다. 서거 당시에는 실족사라는 결론이 내려졌지만 장 선생의 사인이 석연치 않다는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됐으며 서거 37년만인 2012년, 이장 과정에서 함몰로 보이는 원형의 흔적이 고인의 두개골에서 발견돼 타살의혹이 증폭됐다.
이후 장 선생의 유해는 약 4개월 간의 정밀 감식을 거쳤으며 법의학자인 이정빈 서울대 명예교수는 2013년 3월 감식결과 발표를 통해 “머리가 먼저 (외부) 가격을 받고 추락한 것 같다”고 밝힌 바 있다. 감식을 마친 고인의 유해는 같은달 ‘독립군가’가 울려 퍼지는 가운데 ‘장준하 공원’에 안장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