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잘보이기용”…SNS “충성선서냐, 北과 뭐 달라”
강원도 철원군이 갈말읍 ‘군탄공원’을 25년만에 ‘박정희 장군 전역 공원’으로 명칭을 변경하기로 결정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와 관련 시민단체와 SNS상에서 ‘대통령 눈치보기’라는 비난 여론이 일고 있다.
‘군탄공원’의 명칭이 변경된 것과 관련, 허양욱 전교조 철원군지회장은 ‘go발뉴스’에 “박근혜 대통령이 대선 후보가 되면서 이런 움직임들이 있었다”면서 “중간에 약간 주춤하다가 박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다시 (명칭변경)움직임이 표면화 됐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명칭 변경은)주민의 여론을 반영한 것도 아니고 도 의정에 있는 몇몇 정치인들이 정권에 잘 보이기 위해 추진한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여론화를 통해 이런 부분들이 꼭 필요하다면 정당한 절차를 거쳤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허 지회장은 또 “박정희의 5.16 쿠데타 등이 교육적으로 아이들에게 보여줄 만한 부분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면서 “명칭을 바꿀 만큼 역사적으로 가치가 있는 것인지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일갈했다.
철원군의 이같은 결정을 두고 트위터에서는 “남한이 북한하고 다른 게 뭔가? 권력이 무섭긴 무섭다. 각계각층에서 충성 선서를 하고”(@Kwa********), “박정희의 어두운 그림자가 다시금 그 딸로 인해 살아나고 미화되는 현실. 독재불감증의 시대를 사는 것은 아닌지”(@met*******), “차라리 골수 친일파 다카키 마사오 공원이라고 하라”(@julr******), “미쳤지. 군사반란 일으킨 인물을 찬양하다니...이것보고 군사반란 일으키는 군인 생길까 두렵다”(@myi****), “독재 부역자가 곧 친일 부역자..부역자 처리를 못하니 나라가 끝도 없이 썩는다”(@Sam********)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쏟아냈다.
이같은 여론에 대해 철원군청 문화예술담당은 ‘go발뉴스’에 “원래 명칭을 찾은 것”이라면서 “지역의 사회단체에서 명칭복원 추진위를 구성해 예전 명칭으로 해달라고 작년에 요청을 해왔다”고 설명했다.
‘박근혜 대통령 눈치보기’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시기를 그 시기(대통령 취임 후)에 맞춰서 하려는 의도는 아닌 것 같다”며 “공교롭게 시기가 일치가 된 것 같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또 “어차피 공원으로 활용하고 있고, 공원이 비좁아 확장할 계획이 있었다. 확장되는 부분이 국방부 소유 토지”라면서 “명칭과 상관없이 공원을 넓혀서 주민 휴식 공간으로 활용하려고 했던 부분이었다”고 덧붙였다.
‘군탄공원’은 1963년 8월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인 박정희 대통령이 퇴역하면서 ‘다시는 나와 같은 불우한 군인이 되지 말자’는 내용의 연설을 남긴 곳이다.
1969년 육군이 이 자리에 전역비를 건립한 데 이어, 1976년 강원도가 전역비 주변 2만 2847㎡를 공원으로 조성하면서 ‘박정희 장군 전역공원’으로 불렸다. 하지만 정권이 바뀌고 5.16이 쿠데타로 인정되면서 1988년 ‘군탄공원’으로 이름을 바꿨다.
<한겨레>에 따르면, 철원군은 26일 오후 지명위원회를 열고 군탄공원의 명칭을 ‘박정희 장군 전역 공원’으로 복원하기로 결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철원군은 지난해 9월부터 3개월간 군청 누리집에 접속한 14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89%인 125명이 박정희 장군 전역공원에 찬성했고, 방문 민원인 등 529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도 49%인 255명이 찬성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2000년도에도 철원군번영회가 박정희 전 대통령 전역지 되찾기 운동을 벌였지만, 지역의 반대 여론 등이 제기되면서 무산된 것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