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창원 “수사의지 전보발령난듯…국회는 국조한다더라”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는 경찰이 국가정보원 사건을 3개월째 결말을 내지 못하고 있는 것에 대해 12일 “권은희 과장과 함께 수사의지도 전보발령난 듯하다”며 일침을 날렸다.
표 전 교수는 이날 트위터에서 “보도라도 해 주니 고맙네요”라며 “국회에선 수사종결 후 국정조사한다고 수사종결만 기다린답니다”라고 전했다.
국가정보원 직원의 대선개입 의혹과 관련 경찰이 수사를 진척시키지 못하고 3개월째 결말을 내지 못하고 있다. 1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찰은 3월에도 결과발표를 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2월 12일 민주통합당의 고소로 경찰은 국정원 직원 김모(29‧여)씨의 대선 여론조작 인터넷 활동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으나 수사 나흘만인 12월 16일 밤 11시 “혐의점을 찾을 수 없다”고 기습적으로 중간수사결과를 발표했다.
당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가 대선 3차 TV 토론회에서 이 문제로 논쟁을 벌인 후로 영남대‧국정원 출신 김용판 서울지방경찰청장이 중간 수사발표를 하도록 한 사실이 드러나 선거개입 논란을 자초했었다.
대선이 끝나자 경찰은 180도 다른 모습으로 돌변했다. 국정원 직원 뿐 아니라 국정원 도우미 ‘제3의 인물’ 이씨(42)까지 드러나 피의자 신분 조사까지 했지만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또 경찰은 지난달 2일 국정원 사건을 처음부터 맡아 수사해온 권은희 수사과장을 최종 수사 결과 발표도 전에 다른 경찰서로 인사조처해 축소‧은폐 의혹을 가중시켰다.
사이트 운영자 이호철(41)씨는 김씨가 5개 아이디 외에 33개의 아이디를 ‘제4의 인물’과 공유, 대선 관련 글 160여 건을 게시한 흔적이 발견됐다고 밝혔지만 경찰은 수사 여부에 대해 답을 내놓지 않았다.
2차례 소환요구에 불응했던 이씨에 대해서도 민주통합당의 지난달 17일 고발로 수사에 물꼬가 트였으나 경찰은 지난달 22일 조사 이후 재소환 일정조차 못잡고 있다.
임병숙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은 11일 <연합뉴스>에 “재소환 조사가 필요한데 날짜를 아직 잡지 못한 상태”라며 “수사 경과 상황은 일절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밝혔다.
한 경찰 관계자는 “지금 분위기로 봐선 이번 달에도 수사결과가 나오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