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석유公 사장, 최경환 입장 뒤집어.. “정부 사전허가 없이 불가능”
당시 지식경제부 장관이었던 최 부총리는 “하베스트 인수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보고받거나 지시한 적이 없다”고 말해왔다. 그러나 강 전 사장의 주장은 최 부총리의 입장을 뒤집은 것으로 적지 않는 논란이 예상된다.
12일 국회는 ‘정부 및 공공기관 등의 해외자원개발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이하 자원외교 국조특위)를 열고 하베스트 하류부문 자회사인 NARL 인수 책임론에 대한 공방을 벌였다.
석유공사는 이명박 정부 때인 지난 2009년 ‘자원외교’를 명목으로 하베스트와의 인수합병을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하베스트는 정유부문 계열사인 NARL까지 인수할 것을 요구했다. NARL 적자투성이인 기업이었다. 그럼에도 석유공사는 NARL를 인수, 결국 1조7000억원의 손해를 입었다.
자원외교 국조특위 소속 최민희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이날 강 전 사장이 지난해 7월 1일 감사원에 보낸 탄원서를 공개했다.
강 전 사장은 탄원서를 통해 “석유공사로서는 (상류와 하류) 전체를 인수하거나 인수를 거절하거나 둘 중 하나의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전체 인수가 타당하다고 판단했다”며 “이 과정에서 당시 지경부 장관이 매수 지시가 선행되었음은 물론이며, 40억달러가 넘는 인수계약에서 정부 사전 허가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전했다.
강 전 사장은 “어느 정도 손해가 날 것을 인식하고 다만 감내 할 수 있겠느냐가 문제였다”면서 “(최경환 당시) 지경부 장관의 지시 또는 행정지도하에서 인수가 확정된 이상, 이 사건 인수계약과 관련해 위법성을 논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밝혔다.
최 의원은 이에 “하베스트 하류부분인 NARL 인수가 부실과 어마한 국고손실로 판명난 상황에서 하베스트 상류부문 마저도 비싸게 샀다는 평가가 나왔다”며 “강영원 전 석유공사 사장, 최경환 당시 지경부장관, 이명박 전 대통령 등은 반드시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 “MB정부, 캐나다 하베스트 과대평가 알고도 인수”
- 檢, MB정부 시절 1조 3천억 손실 전 석유公 사장 조사 착수
- 4대강·해외자원개발 공기업 3곳 부채 32조 늘어
- MB정부 해외자원개발 놓고 최경환 vs 노영민 ‘격돌’
- 자원외교 공기업, MB정부 5년 간 1500억 성과급 잔치
- “자원외교 대국민 사기극 공범 최경환, 끝까지 오리발”
- “석유公, 부실 英석유탐사업체 40%나 비싸게 사들여”
- MB정부 2조원 쏟아 부은 하베스트 ‘날’ 200억에 매각
- MB정부 석유공사, 해외자원개발 원유 반입 ‘0’
- 혈세낭비 MB 해외자원개발에 31조 추가 투입?
- 한국석유공사 부실인수 ‘MB 최측근’ 개입 의혹
- MB정부, 캐나다 정유공장 매각 손실 2조5000억.. 또 ‘헛발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