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혐의 백종천·조명균 무죄

대통령기록물 관리법 첫 재판.. 3년 논쟁 끝 결국 명예회복

백종천 전 청와대 외교안보실장, 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
백종천 전 청와대 외교안보실장, 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를 공모한 혐의로 기소된 백종천 전 청와대 외교안보실장과 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이 무죄를 선고받았다.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 30부는 6일 대통령기록물 관리법 위반과 공용전자기록 손상혐의로 기소된 백 전 비서관 등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이들이 삭제했다는 회의록 초본을 대통령 기록물로 볼 수 없다고 판단, 대통령기록물관리법에 대해 무죄로 판결했다.

판결 요지에 따르면 재판부는 “기록물 ‘생산’으로 보려면 결재권자가 내용을 승인해 공문서로 성립시키려는 의사가 있어야 한다”며 “이 사건의 경우 노무현 전 대통령이 ‘승인’이 ‘재검토 수정’ 지시를 명백히 내리고 있으므로 대통령 기록물로 생산됐다고 볼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당시 노 전 대통령이 회의록 초본 파일을 열어 확인한 뒤 ‘처리의견’ 란에 ‘내용을 한 번 더 다듬어 놓자는 뜻으로 재검토로 합니다’로 명시적으로 기재했기 때문에 승인한 것으로 볼 수 없다”고 판결했다. 또 회의록 초본의 경우 당연히 폐기돼야 할 대상이라며 공용전자기록 손상 혐의도 무죄 판단을 내렸다.

선고 말미에는 “이 사건 회의록 파일처럼 녹음자료를 기초로 해서 대화내용을 녹취한 자료의 경우 최종적인 완성본 이전 단계의 초본들은 독립해 사용될 여지가 없을 뿐 아니라 완성된 파일과 혼동될 우려도 있어 속성상 폐기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밝혔다.

백종천 전 외교안보실장은 선고가 끝난 뒤 “재판결과는 사필귀정이라고 생각한다. 재판부가 공명정대하고 객관적인 심판을 해준 데 감사한다”고 전했다.

©YTN
©YTN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논란은 지난 2012년 10월 새누리당 정문헌 의원이 “2007년 남북 정상회담에서 노무현 대통령이 NLL을 포기했다”고 주장하면서 불씨를 댕겼다. 당시 대권 주자였던 문재인 의원은 “정 의원의 발언이 사실이라면 제가 책임을 질 것”이라며 강수를 뒀다. 민주당은 정상회담 회의록을 유출한 혐의로 정 의원을 검찰에 고발했다.

이듬해 2013년 6월 국가정보원에 보관된 회의록 발췌록을 열람한 새누리당 서상기 의원도 NLL 포기 취지 발언이 있다고 주장하다 문 의원은 회의록 공개를 제의하며 맞섰다. 이어 국정원이 회의록 전문과 발췌록을 전격 공개하면서 논란은 점점 증폭됐다.

검찰은 디지털자료 분석용 특수차량까지 동원해 755만건의 기록물을 분석하며 대대적인 압수수색을 마쳤지만 회의록은 찾지 못했다. 대신 노 전 대통령이 퇴임 전 복사해 간 ‘봉하 이지원’에서 회의록 초본 삭제 흔적과 완성본에 가까운 수정본을 발견했다.  

결국 검찰은 노 전 대통령이 NLL를 포기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될 수 있는 자신의 발언을 감추기 위해 백 전 실장 등에게 회의록 미이관을 지시했고, 이들이 회의록 초본을 삭제하고 대통령 기록관으로 이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불구속 기소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