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민간재단 이사장도 직접 결정?” 잇단 낙하산 의혹

“靑, 세종재단 이사장 선임에 두 차례 관여”.. 재단 내부 문건 파장

청와대가 민간재단인 세종재단 이사장 선임에 두 차례 관여한 사실이 재단 내부 문서를 통해 공개돼 논란이 되고 있다.

6일 <경향신문>이 입수한 ‘세종재단 이사장 선임 경과보고’에 따르면, 청와대는 먼저 지난 4월 29일 공석인 재단 이사장으로 김모 전 대사를 통보했다.

그러나 김 전 대사는 박 대통령이 관피아 척결 선언을 포함한 세월호 참사 특별담화를 발표한 지난 5월 19일 오후 재단 측에 전화를 걸어 “지금 국가 전체의 분위기(관피아 유관부서 취업 금지)는 저 개인에게 국한된 것이 아니다”라며 자진 포기했다.

ⓒ JTBC
ⓒ JTBC

두어 달 뒤 청와대는 다시 재단 이사장 선임에 관여했다. 7월 28일 외교부는 다시 박준우 전 청와대 정무수석을 내정해 통보했다. 문건엔 외교부 신모 국장이 “위(청와대)에서 박준우 전 정무수석 내정을 통보함”이라고 적혔다.

박 전 수석이 9월 3일 재단 관계자와 나눈 대화 기록에는 “알아보았더니 이것은 김기춘 비서실장 일이 아니고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결정한 일이다”라는 박 전 수석의 말이 나와 있다. 박 전 수석은 “본인이 현 박근혜 대통령 밑에서 정무수석을 한 사람으로서 대통령이 명한 자리를 두고 토 달 일이 아니다. 이미 내부절차가 끝이 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재단 이사들은 두 차례에 걸친 청와대의 내정 통보에 반발했지만 박 전 수석의 내정은 철회되지 않은 상태다.

한 이사는 앞서 김 전 대사 내정 후 열린 재단이사장선발소위원회에서 “세종재단 의사와 관계없이 청와대가 결정하고 일방적으로 내려보내고 있다. 세월호 침몰 사건 이후 사회적으로 큰 말썽이 되고 있는 전형적인 ‘비합리적 전관예우 스타일’”이라고 지적했다. 박 전 수석 통보가 있고 나서는 송대성 세종연구소장이 이사들과 개별 면담한 결과 8명 중 6명이 반대했다고 문건에 나타났다.

세종재단은 1983년 설립된 ‘일해재단’의 후신으로 정부의 지원이 없는 민간 연구소지만 외교부 등록 재단법인이기 때문에 이사장 소장 임명은 외교부 장관 승인을 받게 돼 있다.

한편 해당 소식을 접한 한 네티즌(박**)은 “표면적으로는 낙하산 안 한다고 큰소리쳐놓고 뒤로는 개인연구소마저 낙하산을 내보내니 정말 기가 차네요”라고 비판했고, 또 다른 네티즌(mimik****)은 “민간연구소에까지 자기 사람 심기에 혈안이 되어 있으면서 관피아 척결. 박근혜가 적폐의 온상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그 외에 네티즌들은 “생각이 있고 유능한 지도자라면 저런 일에 신경 쓸 시간조차 없겠지 일자리 나눠주는 사람 뽑자고 대통령 선거를 한 셈이네”(tsjh****), “갈수록 실망스럽네요”(레드**), “참 지나치다. 모든 것을 혼자 하라고 5년을 정한 것은 아닐진데”(평*), “적폐해소란 낙하산 인사에 대한 반발은 없애는 건가? 대체 세상 돌아가는 게 헷갈리네”(SH**) 등의 반응을 보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