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금융지주·은행장 자리, 서강대 출신 인사들이 차지
4대 금융지주와 국책은행장 등 주요 금융기관의 수장 자리를 모두 민간 출신이 차지하면서 금융권에 ‘관피아(관료+모피아)’가 사라지고 있는 모양새다. 그러나 서강금융인회 출신 인사들이 대다수 자리를 차지하면서 ‘신 관치’가 아니냐는 논란이 나오고 있다.
<경향신문>에 따르면 올해 들어 민간출신인 김한조 외환은행장과 이덕훈 수출입은행장이 취임했다. 국민은행도 내부 출신인 윤종규 회장이 취임하며 KB, 하나, 우리, 신한 등 4대 금융지주와 은행의 최고경영자(CEO)를 모두 내부 출신이 차지하게 됐다.
특히 관료 출신이 차지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겼던 금융협회장도 모두 민간 출신이 차지할 전망이어서 금융계에서 관피아의 모습이 사라진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최근 박근혜 대통령의 모교인 서강대 출신 금융인들이 잇따라 부상하면서 이른바 ‘신 관치금융’ 논란이 새롭게 일어나고 있다.
현 정권 들어 서강대 출신인 홍기택 산은금융지주 회장, 이덕훈 수출입은행장, 정연대 코스콤 사장 등이 금융권 CEO 자리를 차지했다. 홍 회장과 정 사장은 민간 금융사 CEO 출신도 아닌 학계 출신이다.
또 다음 달 취임을 앞우고 있는 홍성국 대우증권 사장과 우리은행장 후보로 급부상하고 있는 이광구 부행장도 모두 서강대 출신이다.
이같은 현상에 대해 네티즌들은 “MB의 ‘고소영’처럼 박근혜 씨의 서강대 인맥입니다. 정권에 줄대기와 낙하산 인사로 이미 바닥을 친 금융산업에 특혜까지?”(@Che****), “이명박 때는 ‘고대 4대천왕’이 나라 말아먹더니”(@tur****), “이런 쓸데없는 인맥들은 부정부패의 연결고리이다”(@kza****), “외환위기 때보다도 상황이 더 안 좋다는 판국에 후진적 특정 학연 인사라니 말이 되는 소리인가”(@mor****)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