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국가경쟁력 2년 연속 하락.. “10년만에 최저”

세계경제포럼, 금융시장 성숙도·노동시장 효율성 등 약점요인 지적

세계경제포럼(WEF)이 평가한 우리나라 국가경쟁력이 26위에 그치면서 2004년(29위) 이후 가장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

WEF가 3일 발표한 ‘2014년도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지난해 148개국 중 25위를 기록했던 우리나라 국가경쟁력은 올해 144개국 중 26위로 떨어졌다.

지난 2007년 11위까지 올랐으나 2008년 13위, 2009년 19위, 2010년 22위, 2011년 24위로 떨어졌다. 2012년 19위로 5년만에 반등했으나 다음해 다시 25위로 하락했다.

국가별로는 스위스와 싱가포르가 지난해와 같이 1위, 2위를 기록했고 미국이 전년보다 2단계 상승해 3위를 기록했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싱가포르 2위, 일본 6위, 홍콩 7위, 대만 14위, 중국 28위를 기록했다.

WEF는 기업 최고경영자(CEC)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통계치를 합산해 국가경쟁력 순위를 매기고 있다.

ⓒ 기획재정부
ⓒ 기획재정부

12개 평가부문 중 거시경제(9위→7위)와 금융시장성숙도(81위→80위), 시장규모(12위→11위) 등 3개 분야는 순위가 상승했지만 제도적 요인(74위→82위), 인프라(11위→14위), 보건 및 초등교육(18위→27위), 노동시장 효율성(78위→86위) 등 나머지 7개 평가부문은 순위가 내려갔다.

WEF는 우리나라 부문별 약점요인으로 금융시장 성숙도(80위), 제도적 요인(82위), 노동시장 효율성(86위) 등을 지적했다.

기획재정부는 2월부터 4월까지 진행된 WEF 설문조사 당시 개인정보 유출사건, 북한 미사일 발사, 세월호 사고 등이 기업인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순위로 이어졌을 것으로 추측했다. 전체 평가의 20%를 차지하는 통계지표는 전반적으로 순위가 상승한 반면 60%를 차지하는 설문지표는 하락했기 때문이다.

기재부는 “앞으로 경제혁신 3개년 계획, 규제개혁, 비정상의 저상화 등을 강도 높게 추진하여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를 창출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