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계약조건 위반”.. 홍 화백 “패러디도 이해 못해”
박근혜 대통령을 허수아비로 묘사한 광주비엔날레 출품작에 대해 광주시가 작품을 수정 하라고 요구한 데 대해 작가가 반발하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5.18 당시 시민군 출신인 민중화가 홍성담 화백은 9월 5일부터 11월 9일까지 열리는 광주비엔날레 20주년 특별전 ‘광주정신展’에 세월호 참사를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연계해 묘사한 작품인 ‘세월오월’을 출품한다.
‘세월오월’이라는 작품명은 홍 화백이 세월호 참사가 국가폭력에 의한 희생이었다는 점에서 5.18과 맞닿아 있다고 보고 세월호와 오월을 합성한 것.
작품은 5.18 당시 시민군과 주먹밥 아주머니가 ‘세월호’를 바다에서 들어 올리고 승객들을 안전하게 탈출시키면서 마치 모세의 기적처럼 바다가 갈라지는 모습을 묘사했다.
또한 작품에는 노란우비와 함께 유모차를 끌고 나온 시민이 ‘가만 있지 마라’는 펼침막을 든 모습과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 등의 모습도 담겨있다.
그러나 <노컷뉴스>에 따르면, 광주시 오형국 행정부시장은 홍 화백의 작품에 문제를 삼고 작품 수정을 요구하는 압력을 가해 논란이 되고 있다.
오 부시장이 문제를 삼는 부분은 박근혜 대통령이 박정희 전 대통령과 김기춘 비서실장의 허수아비로 묘사된 부분.
이에 대해 홍성담 화백은 “오 부시장이 담당 큐레이터를 통해 ‘박근혜 대통령을 흰색으로 칠하는 등 모습을 바꾸라’거나 ‘박정희 전 대통령의 계급장과 선글라스를 벗겨라’ ‘김기춘 비서실장을 빼라’는 등의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노컷>에 밝혔다.
홍 화백은 “광주비엔날레 특별전으로 광주정신전을 하면서 이 정도의 패러디조차 하지 못하게 한다면 광주정신전을 하지 말아야 한다”며 광주시 측의 수정 압력에 강하게 항의했다.
이에 대해 오형국 행정부시장은 “광주시의 예산 지원으로 개최되는 광주비엔날레에서 국가원수인 대통령을 희화화하는 작품을 전시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이는 표현의 자유를 넘어선 것”이라고 <노컷>에 밝혔다.
또한 오 부시장은 “작품 수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작품을 전시하게 할 수 없다”고 덧붙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광주시 관계자는 ‘go발뉴스’에 “당초 작가에게 요청한 작품 방향 설정이 주문대로 되지 않은 것에 대해 수정 요청을 한 것”이라며 “대통령을 희화화했기에 요구를 했다기보다 사업목적과 취지에 벗어나 수정을 요청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광주시 고위 관계자가 출품작에 대한 수정 요구 압력을 가했다는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표현의 자유 침해’ 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네티즌(aa**)은 “이 나라는 풍자를 못해.. 외국은 자국 대통령 맘대로 풍자 그림도 걸어놓고 방송에서도 대놓고 욕하던데 이게 독재정권이냐 민주국가냐?”라고 꼬집었고, 또 다른 네티즌(언제가는****)은 “이게 왜 논란인데?”라며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 밖에도 “국가가 국민을 보호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국가가 아니고 허수아비다”(이**), “권력이 두려워 표현을 못할거면 그게 예술이냐.. 꼭두각시지”(paula***), “저 정도 그림이 문제가 된단 말인가? 지금이 유신이나 5공 시절도 아닌데 너무한 거 아냐?”(블루**), “저걸 문제 삼는다면 북한 김일성 사진 젖는다고 울던 응원단과 무엇이 다른가. 표현, 예술의 자유가 없다면 이 나라는 북한을 비웃을 수준이 못된다”(코끼리***) 등의 반응들을 보였다.
한편, 가로 10.5m X 세로 2.5m의 대형 걸개그림인 ‘세월오월’은 오는 8일부터 광주시립미술관 1층 로비에 전시되며 이 작품을 9배 크기로 리프린팅한 그림은 광주시립미술관 벽면에 게시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