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에 ‘BH’ 메시지 전파 지시, 네티즌 “구조를 댓글식으로 했으면”
세월호 참사에 대해 컨트롤타워가 아니라던 청와대가 정작 사고 초기부터 정부 부처와 산하 기관에까지 SNS 대응 지침을 내리며 댓글 컨트롤타워 역할은 해온 정황이 확인되었다.
<시사IN>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가 산하 공공기관에 내려 보낸 SNS 대응 지침에는 사고 다음날인 4월17일 산업통상자원부는 “BH(청와대, Blue House의 약자)에서 메시지 전파를 요청했다”라며 SNS 대응 지침을 산하 공공기관에 내려 보냈다.
해당 지침은 “세월호 여객선 침몰사고(공식 명칭)로 전 국민이 충격에 빠져있는 상황이다. 일부에서 유언비어와 악성댓글 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BH에서는 각 부처와 공공기관 SNS 채널에 이를 자제해달라는 메시지 전파를 요청했다”는 내용이었다.
산자부는 이런 지침에 따라 각 기관의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SNS 성격에 맞게 (내용을) 꾸며 올려달라면서 ‘온라인의 예민한 반응을 고려해 달라’는 주의사항을 덧붙였다.
실제 4월17일 산자부 공식 트위터는(@with_dabansa) “제주도를 향하던 세월호가 사고를 당해 산업부와 유관 공공기관은 가용 자원으로 구조 활동을 돕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악성댓글과 유언비어 등은 피해자분들과 가족분들에게 상처를 줄 수 있습니다. 이런 일이 없도록 국민 여러분의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립니다”라고 올렸다.
이에 지침에 따라 해당 트윗은 산자부 산하 한국수력원자력(@ikhnp)과 한국원자력문화재단(@anyatom) 등이 퍼날랐으며, 수원시상수도사업소(맑은물정책과)(@waterworks99), 권선1동주민센터(@suwon_sun1)도 동참했다
산자부는 페이스북 활용도 독려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유관 공공기관의 구조 활동에 대한 내용을 공유해달라는 지침을 내려 보냈다.
그러자 한전광주전남, 한국석유공사, 한국전력공사 등이 “한전은 해저 케이블 순시선을 사고 당일 침몰 현장으로 급파했고 휴대폰 충전 설비와 의약품 등의 구호물품도 지원했다”, “전기안전공사는 전남지사 인원을 파견해 전기안전시설을 점검하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현장에 대기 중”이라는 내용이 공유됐다.
특히 이러한 SNS 홍보 요청은 산자부말고도 다른 부처에도 전달되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앞서 방송통신심의원회는 방송통신위원회에 ‘여객선 세월호 침몰사고 관련 대응보고’에서 “유언비어 등 매체별 중점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필요 시 네티즌 자정 권유 및 사업자 ‘삭제’ 신고 등을 병행”했다는 사실이 알려진 바 있다.
때문에 재난 대처에는 무능했던 정부가, 홍보와 SNS 대응 등으로 세월호 참사가 몰고 올 정치적 파장을 줄이는 데만 집중했다 비판이 일 것으로 보인다.
논란이 일자 산자부 관계자는 “BH 관련 사안은, 실무자가 내부적으로 협조 요청을 하는 과정에서 미스커뮤니케이션이 좀 있었던 거 같다. 담당자 입장에서는 BH라고 쓰면 (공공기관이) 잘 협조해주지 않았을까 생각했었던 거 같은데, BH가 지시한 적 없다. 그 부분은 사전 공감 내지는 협의 정도로 보면 된다”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러한 해명은 SNS 대응 담당자가 청와대 지시를 사칭한 것으로 풀이될 수 있어 설득력이 없어 보인다.
네티즌들은 “훌륭하게 댓글 컨트롤 타워 역할 함”(@iss****), “국가공무원이 ‘박근혜 사병’인가? 국록을 먹는 자들이 시정잡배만 못한 꼼수에 몰두”(@Ben****), “부정선거 때 처럼 댓글 올리는 것은 빠르다.” 구조를 댓글식으로 했으면 전원 구조 했을 거다”(@cjk****), “사람 구하는 데는 이것저것 핑계 대며 지체시켰으면서, 권력 구하는 데는 일사분란, 모든 것이 투입됐다. 진도 현장엔 가족들 경찰병력 투입해 청와대가는 길 막고, SNS 겁박하고. 그런 쪽엔 컨트롤타워가 완벽해”(@hee****)라며 힐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