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주 의원 “군사기밀 문서 유출”, 국과연 “해킹 흔적 없어” 부인
국방과학연구소(이하 국과연) 전산망이 국외 해커조직들에 의해 해킹을 당해 군사기밀이 대량 유출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영주 의원은 10일 보도자료를 내고 “중국과 북한의 해커조직으로 추정되는 해커들이 프로그램의 중앙배포 서버에 악성코드나 악성프로그램을 침투시켜 내부의 전체 PC와 서버컴퓨터를 장악해 군사기밀 자료를 유출했다”고 주장했다.
유출된 자료는 우리 군이 대북 감찰·정찰 능력강화를 위해 본격적인 체계 개발에 착수한 ‘중고도 정찰용 무인항공기(MUAV)’의 위성데이터링크시스템 자료와 700억 원의 개발비가 투입된 휴대용 대공미사일 ‘신궁(新弓)’의 성능시험장비 자료, 중거리 지대공 유도미사일 ‘천궁(天弓)’의 탐색기 소프트웨어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유출된 문건에는 ‘경고’라는 문구와 함께 ‘목적 외에 불필요한 제공을 금함, 발행권자의 승인 없이 복제, 복사 및 인용을 금함’이라고 적혀 있어 군사기밀 문서임이 증명된다고 김 의원은 설명했다.
김 의원은 “국과연에 있는 3천대 이상의 컴퓨터가 모두 해킹을 당했는데 국과연과 군 당국은 언제 해킹이 됐고, 피해가 어느 정도인지 파악조차 못하고 있다”면서 “국과연은 최근 북한에서 보낸 것으로 알려진 무인정찰기를 정밀분석하는 국방부 핵심 연구기관이라는 점에서 철저한 조사와 대처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국과연은 입장자료를 내고 “(유출된) 문건은 국과연 개발 장비 제작을 위해 국과연 및 업체에서 작성한 기술 자료 등으로 기밀문서가 아닌 일반 문서”라며 김 의원의 주장을 일축했다.
국과연은 지난달 24일 연구소 전산망이 해킹되고 있다는 내용의 신원미상 계정의 이메일이 연구소 직원 68명에게 수신돼 전산시스템의 악성코드가 침투했는지 여부를 정밀 진단한 후 스팸으로 분류해 차단했다고 밝혔다.
이후 국과연은 같은 달 31일부터는 해당 자료 중 8건의 문건을 첨부한 이메일이 수신돼 연구소 전산망의 해킹여부를 재차 진단했으며, 9일엔 기무사에 현 사항에 대해 사이버 수사를 의뢰해 사이버 수사팀이 수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더불어 국과연은 “동일한 내용의 이메일 및 첨부 문건이 언론사 및 김영주 의원실에도 보내진 것으로 추정된다”며 “일반 업무를 위해 외부 인터넷망을 운용 중이지만, 연구 업무는 보안을 위해 외부와 전면 차단된 내부 전산망을 사용하고 있어 외부접근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내부 전산망은 ADD의 국방사이버기술센터에서 자체 개발한 특수 보안프로그램을 운용중”이라며 “이번 자료 유출과 관련해 ADD 전산망을 세 차례에 걸쳐 정밀 진단한 결과 외부 해킹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는 입장을 내놨다.
한편, 이같은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군의 연이은 안보 노출을 질타했다.
네티즌들은 “말만 안보, 안보. 또 이런 사람들 믿고 종북 외치는 사람들이 더 한심해”(soj****), “국방부는 대체 뭐하는지. 장비타령, 인력타령, 예산타령만 할줄 알았지. 무인기도 그렇다. 버젓이 북한이 날렸는데 그것이 정찰이나 폭격용으로 할지 절말 몰랐나? 미리 예상하고 부족하면 순차적으로라도 예산이 반영하고 개선해야지. 생각도 못했거나 알면서도 묵과한 너희들 죄 너무 크다. 소 잃고 외양간 않고치는 가장 무능 부패한 집단!”(mes****),
“국방이 여기 저기 구멍이 숭숭 뚫려도 책임지는 자들은 없고, 국민에게 공포감만 조성하는 정권”(zoo****), “안보 팔아서 권력 유지한 인간들이 안보도 잘하는 게 없다. 말로만 안보일 뿐. 경계 실패로 노크귀순, 천안함 피격, 사이버 해킹, 이제는 무인기 영공침범까지. 잘하는 것은 군 납품 비리로 돈 챙기기, 불량부품 사입, 불량무기 도입, 고물무기 보급 등 헤아릴 수가 없다”(kw5****)이라며 비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