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TV조선, 철도 파업시기 왜곡보도 논란

국토부, 해당 기사 공식 트위터로 ‘여론몰이’

지난해 12월 정부의 민영화 정책을 반대하며 파업을 벌이던 철도 노조에 대해 ‘귀족노조’라고 비판 하던 국토교통부 등이 일부 보수 일간지와 종편의 왜곡 기사를 바탕으로 ‘여론몰이’에 나선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노컷뉴스>는 지난달 26일 <동아일보>와 <TV조선>이 ‘하루 승객 15명인 역에 역무원 17명’이라는 똑같은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고, 해당 보도가 왜곡됐다고 28일 전했다. 당시 기사가 보도된 시점은 공기업을 대수술하겠다는 정부의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이 나온 지 보름이 되던 무렵이었다.

ⓒ <동아일보> 온라인판 캡처화면.
ⓒ <동아일보> 온라인판 캡처화면.

문제의 기사는 강원도 한 기차역의 2010년 철도 운송수입이 1,400만 원인 데 반해 인건비는 11억 3,900만 원이었다며, 이처럼 경제적 효율성이 낮은 역이 많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역을 구조조정하지 못하는 이유를 강성 노조 탓으로 돌렸다.

이 기사는 즉각 큰 반향을 일으켰고, “이게 바로 방만 경영이다”, “양심 없는 귀족 노조 새끼들”, “노조의 폭거이면서 만행이다” 등 분노의 글들이 SNS를 중심으로 퍼졌다. 그러나 <노컷>은 이 기사가 '왜곡 보도'라고 지적했다.

기사가 지적하고 있는 역은 강원도 영월의 쌍용역. <노컷>에 따르면 철도청통합정보시스템 확인 결과 쌍용역의 2010년 수입은 96억 1,500만 원이었다. 화물 수입 95억 9,600만 원에 여객 수입 1,900만 원을 합한 금액이다. 기사에서 밝힌 수입 1,400만 원보다 6,867배나 많은 액수다.

근무자가 17명이라는 부분은 사실이었다. 2014년 현재는 15명이 근무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기사는 3조 2교대제 운용 시스템상 하루 실제 투입 인원이 5명밖에 안 된다는 중요한 사실을 누락시켰다.

한 사람이라도 휴가를 가거나 하면 4명이서 관제, 수송, 화물 등의 업무를 떠안고 있는 현실을 제대로 알리지 않은 것이다.

기사 내용에 대해 쌍용역 역무원들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김상희 로컬관제원은 “황당하고, 분개해 나는 잠도 못 자고 밥도 못 먹을 정도였다”며, “우리 15명을 한순간에 국민 혈세나 빨아먹고 사는 사람들로 만들었다”고 성토했다.

한 역무원의 경우 해당 기사가 나간 뒤 가족 모임에서, 처남에게 편한 역에서 일하고 있다는 조롱을 들었다고 <노컷>에 전했다.

박창용 쌍용역장은 “최소한 쌍용역에 전화해 한 번만 확인했어도 이런 어처구니없는 기사는 안 나갔을 텐데”라며 아쉬워했다.

더 큰 문제는 두 기사의 자료 출처는 국토교통부라는 점이다. 국토부는 자료가 사실과 다르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누가 제공했는지는 입을 다물었다.

대변인실의 한 사무관은 “당시 철도파업 중이라 급하게 자료가 만들어지고 제공돼 누가 제공했는지 알 수 없다”고 해명했다.

ⓒ 트위터화면 캡쳐
ⓒ 트위터화면 캡쳐

하지만, 국토부는 당시 이 기사가 나오자 국토부 공식 계정 트위터로(@Korea_Land) 기사를 13차례나 트위트했다. 철도 민영화를 두고 노사가 격한 대립을 하던 상황에서 다른 매체에서 똑같은 기사가 동시에 나가고 이어 문제의 기사를 트위트한 것을 보면 국토부가 허위 자료로 여론 조작에 나선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이는 대목이다. 

한편, 네티즌들은 “해도 너무 하는군. 이렇게 국민을 속이니 정부를 신뢰하지 못하지. 철도 민영화도, 개인정보 유출도”(@syh****), “정부에 앞장서 왜곡에 나섰던 언론사 종사자 여러분 인생 그렇게 살지 맙시다. 기자를 가장한 매판자본에 귀속된 소설가들아!”(‏@hum*****), “한국정부와 수꼴언론들이 잘 써먹는 수법대로 쌍용역 역무원들이 국토부와 동아일보 그리고 기사 쓴 두 기자를 상대로 사실왜곡 허위사실 유포 정신적 피해에 대해 소송해야죠. 정부와 언론사만 국민들 고소할 수 있는 게 아니니까”(@Kdo****)라며 국토부와 해당 언론사를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