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의원 ‘위안부 소녀상’ 철거 요구.. 또 소녀상 ‘해코지’

韓 교과서는 “일본군 따라다녔다” 왜곡

천 백 다섯 번째의 외침은 침묵으로 되돌아왔다. 반면 바다 건너 수백 킬로미터가 떨어진 대륙에서는 침묵시위에 빗발치는 항의가 이어지고 있다. 대조적인 광경과 달리 시공간을 초월해 몸살을 앓고 있는 모습은 닮았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와 얽힌 이야기다.

ⓒ'페이스북(Tony******)'
ⓒ'페이스북(Tony******)'

일본의 극우 정당인 일본유신회 소속 중의원 3명이 멀리 미국까지 날아갔다. 미국 글렌데일에 있는 ‘위안부 소녀상’의 철거를 요구하기 위해서다. 글렌데일은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군에 있는 시다.

18일(현지시간) 글렌데일뉴스-프레스에 따르면 스기타 미오, 니시다, 유즈, 나카야마 히로무 등 일본 의원들이 전날 글렌데일 시정부를 방문해 소녀상 철거를 주장했다고 전했다.

같은 시간, 서울 종로구 주한 일보대사관 앞에서는 수요집회가 열렸다. 벌써 11년째다. 이날, 겨울 한파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와 학생들의 모습은 소수 언론에서만 찾아볼 수 있었다.

일본 의원들의 경거망동은 망언으로 점철됐다. 이들은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 위안부는 모두 자발적으로 나선 매춘 여성이며, 숫자도 실제보다 부풀렸다”고 시정부 관계자에게 말했다.

면담자리에는 ‘일본의 재탄생을 위한 공부 모임’이란 로스앤젤레스의 일본계 극우 단체 회원들도 함께했다. 하지만 소수의 어긋난 행동이라고 치부하기엔 상황이 심각하다.

지난 12일 미 백악관에 위안부 소녀상의 철거를 요구하는 청원이 제출됐다. 당시 이 청원은 백악관 청원 사이트 ‘위 더 피플(We the People)'에 올라간 지 하루만에 3600명 이상이 지지 성명을 했다. 위안부 소녀상의 철거를 요구가 일본인에 국한된 것이 아님을 뜻한다.

앞서 텍사스 출신 토니 마라노라는 미국인은 지난 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캘리포니아 여행기’란 4장의 사진이 논란이 됐다. 해당 사진 속 남성들은 노골적으로 위안부 소녀상을 조롱하는 행동을 서슴지 않는다.

위안부 소녀상을 향한 일본 측의 해코지는 건립 이전부터 시작됐다. 시간을 거슬러 지난 7월 25일(현지시간). 로스앤젤레스 남쪽 오렌지카운티의 부에나파크 시의회는 위안부 기림비 건립 제안을 심의하는 과정에서 이를 반대하는 이메일 315통을 받는다.

로스앤젤레스 주재 일본 총영사도 부에나파크 시의원 5명에게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일본 정부가 충분한 사과와 보상을 했다는 내용의 편지를 보낸다.

또, 며칠 후 제막식(7월 30일)이 열리자 이튿날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글렌데일 시립공원에 위안부 소녀상이 세워진 것에 대해 “지극히 유감”이라는 입장을 밝힌다.

이같은 일본 측의 대응에 글렌데일 시장은 화답했다. 지난 10월 데이브 웨버 시장은 일본 극우 성향 방송사 사쿠라 TV와의 인터뷰에서 “소녀상을 세우지 말았어야 했다”고 말했다. 11월에는 일본 측에 ‘위한부 소녀상 건립은 잘못된 것이며, 이로 인해 양 자매도시 사이에 균열이 생긴 것이 안타깝다’는 사과 서한을 발송하기까지 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이번에는 일본이 반응했다. 일본 히가시오사카시의 다루모토조지 시의원은 지난달 15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 시의원들을 항의 방문했다. 위안부 소녀상이 일방적인 정보를 토대로 조성됐다는 것이다.

미국뿐만 아니다. 서울 한복판에 세워진 위안부 소녀상도 해코지를 당하기는 마찬가지. 지난해 6월 극우파 일본인 스즈키 노부유키씨는 위안부 소녀상 의자에 말뚝을 묶었다. 그는 일본 이시카와현 가나자와 시에 있는 윤봉길 의사 순국비 옆에 나무 말뚝을 박은 장본이기도 하다.

ⓒsbs
ⓒsbs

우려스런 상황은 일본 측에 의해서만 벌어지지 않았다. 교과부는 지난 10일 고교 한국사 교과서 8종을 최종승인 했다. 다음은 최종승인 된 교학사의 한국사 교과서의 내용이다. “한국인 위안부는 일본군 부대가 이동할 때마다 따라다니는 경우가 많았다.”

18일 서남수 교육부 장관은 국회에서 열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교학사 교과서 내용은 부적절, 허나 수정은 불가’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