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때, 위안부문제 한일 합의 직전 무산

네티즌 “日제안 토대? 말 다했네.. 위안부문제 양보는 없다”

이명박 전 대통령 재임 중에 위안부 문제와 관련 한일 양국이 사실상 의견 일치를 이뤘으나 일본 의회 해산 등으로 마무리 되지 못했다고 아사히 신문이 8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작년 8월 이 전 대통령이 독도를 방문해 한일 관계가 극도로 악화한 이후 한국 측에서 일본을 방문해 위안부 문제 협의를 요구했고 일본의 제안을 토대로 양국 간의 이견 조율이 이뤄졌다.

앞서 2011년에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주한일본대사의 사과, 한일 정상 회담, 인도적 조치를 위한 자금 지원 등 세 가지 조치와 더불어 노다 요시히코 당시 일본 총리가 피해자에게 서신을 보내는 것을 두고 표현 등을 협의 중이었다는 것이다.

아사히는 사이토 쓰요시 당시 관방 부장관의 설명을 토대로, 일본이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어렵게 마련한 제안을 2011년에는 한국이 거절했으나 작년에는 한국의 요청으로 논의가 급진전했고 사실상 타결 직전까지 갔다고 전했다.

사이토 전 부장관은 “그런데 막바지 협의를 하는 도중 총리가 중의원을 해산하겠다고 밝혔고 한국도 완전히 대선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며 무산된 경위를 설명했다.

위안부 문제를 담당하는 한국 정부 관계자는 “남은 조정 작업에서 조금씩 양보했다면 작년의 움직임이 결실을 볼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아시히에 언급했다.

이같은 보도에 한 네티즌(blue****)은 “기사 내용을 보면 보상과 돈 얘기가 나오고, 서신얘기, 표현의 정도 얘기가 나오는데, 그 표현의 내용을 양국 정부가 조율, 그것도 비공개로, 그렇다면 정작 피해의 주체는 통보형식의 결과를 받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그 표현이 옳지 않더라도 국가간 조율 내용이기에 반박해도 더 이상 국가조차 이후 내용은 인정하지 않게 된다”면서 “더욱이 돈 얘기가 오갔다는 게 MB답다. 위안부 할머니들이 돈을 말하디? 일본 국가차원의 위안부 인정과 정식사과(가 필요하다)”고 일침을 가했다.

네티즌들은 위안부 문제에 양보나 합의는 있을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근데 국민한테 알리지도 않고 맘대로 합의??”(jhme****), “위안부 문제도 양보가 있나”(sang****), “이게 합의 할 거리가 됨?? 걔네가 사과해야 하는 게 맞는데”(hun4****), “위안부 문제에 양보란 없다. 위안부할머니들 생존해 계신분이 50명 내외라던데, 얼른 일본인들 반성하고 무릎 꿇고 눈물로써 목숨 걸고 사죄하길!”(zida****), “양보? 양보??? 무조건적 사과도 아닌 양보를 들먹이다니”(clou****)라는 반응들이 잇따랐다.

이밖에도 “일본의 제안을 토대로 양국간의 의견조율이 있었대 ㅋㅋㅋㅋ 말다했네”(hwoo****), “일본의 제안을 토대로?? 참 좋은 제안을 했겠네ㅋㅋㅋ”(bead****), “대화록 공개해라. 대통령 따위가 혼자결정, 타협 할 일이 아니다. 공개해라”(cwhp****), “주한일본대사의 사과?? 장난하나. 일왕과 총리가 사과하고 자금지원이 아닌 피해보상금을 지급해야지”(kang****), “mb: 저기...우리한테 사과 좀 해주시면 안될까요? ㅠㅠ”(timk****)라는 등의 비난을 쏟아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