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 할머니들 “총리, 직접 나와 사과하라” 요구키도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6일 뉴욕 UN 총회에서 전시 성폭력 피해자 지원 계획을 밝힐 예정인 것으로 알려져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 동원의 강제성을 부정하는 일본 정부의 태도에 ‘이율배반’적이라는 날선 지적이 일고 있다.
23일 <산케이신문>은 아베 총리가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UN 총회 일반연설에서 할 연설의 개요를 파악했다면서 아베 총리가 연설의 절반 이상을 여성과 인권이라는 주제를 다룰 것이라고 전했다. <산케이신문>은 아베 총리가 “분쟁지 여성 성폭력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해 국제기금을 내겠다”는 뜻을 밝힐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22일 <마이니치신문>은 “아베 총리가 유엔총회 연설에서 국제형사재판소(ICC)의 피해자 신탁기금에 이바지하겠다고 약속할 것”이라고 보도하며 아베 총리의 연설에 대해 “옛 일본국 위안부 문제로 일본의 이미지가 더 이상 나빠지지 않도록, 여성의 인권 향상을 위해 적극 노력하는 모습을 호소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같은 아베 총리의 움직임은 일본 정부가 그동안 보여줬던 태도와는 상반된 것이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피해보상을 요구하는 우리 정부의 두 차례에 걸친 구술서 전달에 일본 정부는 침묵했고, 아베 내각은 강제연행의 증거가 없다고 부인해 오고 있기 때문이다.
네티즌들은 해당 소식을 접하고 분노를 금치 못했다. 한 네티즌(클**)은 “손으로 하늘을 가려라”고 일침을 가했고, 또 다른 네티즌(핸*)은 “아베 진짜로 국제 망신 당하려 작심했구나.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린다고 일본인의 만행과 여성인권을 유린하고 무참히 짓밟은 짐승같은 죄를 가릴 수는 없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 밖에도 “과오의 역사에 대한 반성 없이 미래의 영화로움은 없다는 것을 철저하게 느끼는 날이 올 것”(모두가******), “지금 와서 저분들에게 금전적인 보상이 무슨 큰 의미가 있으랴. 진심으로 사죄드리고 반성하면서 살아갔더라면 저분들도 지금처럼 크게 한이 맺히지 않았을 텐데”(엘**), “진심으로 사죄하라”(닭**), “보상이고 뭐고 사과부터 하라고”(red****), “조롱하는 방법도 여러 가지다”(봄*) 등 비난 글들이 잇따라 게시됐다.
한편, 24일 이옥선(86), 박옥선(89), 강일출(85) 할머니 등 ‘위안부’ 피해자 3명은 일본 도쿄도 지요다구 참의원 회관에서 열린 ‘나눔의 집 할머니를 맞이하는 원내집회’에 참석했다.
이옥선 할머니는 “(위안부가) 돈을 벌려고 일본에 갔다고 하는데 10살 먹은 어린이가 위안소가 뭐하는 곳인 줄 알고 가겠느냐”며 “돈 1전이라도 준 사람이 있으면 손들어보라”고 울분을 토로했고, 강일출 할머니는 “당신들이 나를 이렇게 해놓고 왜 총리는 이 자리에 안 오느냐. 백성들이 다 이렇게 왔는데…또 싸워야겠느냐”고 질타해 청중들의 박수를 받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