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사령관 컴퓨터서 靑 보고서 나왔다”

중간 조사 발표 연기.. 김광진 “정무적 꼬리짜르기 고민 길어져”

국군 사이버 사령부의 대선개입 사건과 관련, 민주당 김광진 의원이 "군이 옥도경 사이버사 사령관의 컴퓨터를 압수수색해 보니 청와대로 보고한 서류들이 나왔다는 제보를 입수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18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이 같이 밝히며 “(보고서의) 어떤 내용인지는 모르겠다”면서 “사이버사령관이 청와대에 보고를 하는 일이 흔한 일은 아니다. 국방장관이 보고체계에서 빠져 있었다면 결국은 그 보고서 내용이 핵심”이라 강조했다.

또한 그는 “청와대라고 하는 것이 직접적으로 이명박 대통령인지 아니면 관련 비서관이나 보좌관인지는 모르겠다”며 “하지만 청와대 정부부처 안에서 이와 관련한 내용들을 알고는 있었다 점은 인지할 수 있을 것”이라 덧붙였다.

ⓒ 김광진 의원 홈페이지
ⓒ 김광진 의원 홈페이지
윗선이 더 있을 거라고 보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김 의원은 “상식적으로 1년에 100억원에 가까운 예산을 사용하는 심리전단이 사령관이나 장관이 어떤 일을 어떻게 하는지 하나도 몰랐다 점이 납득하기 어렵다”며 “지휘선상인 장관이나 사령관도 안 알아주고 국정원이나 청와대도 아무도 그 일을 안 알아주는데 왜 이 일을 하겠는가”라며 개인적 일탈이라는 국방부 수사팀의 주장에 의혹을 제기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국방장관 등이 기소대상에서 제외될 것이라는 관측에 대해 “지금 국방부는 여론을 살피며 연 비서관과 옥 사령관 선에서 꼬리를 자를지 망설이고 있다”며 “이는 수사결과에 따라서 판단하지 않고 정치적인 판단을 하고 있는 것이다. 수사 자체가 잘못되고 있다는 반증”이라 강조했다.

연제욱, 옥도경 두 전 현직 사이버사령관에 대해 구속영장 청구 혹은 불구속 기소 단계까지 간다면 만족스러운 결과겠냐는 질문에 그는 “그 정도면 군 조사단에서 할 수 있는 수준”이라 생각한다며 “김관진 장관의 지휘를 받는 수사팀이 장관에 대해선 두 달간의 단 한 시간도 조사를 받지 않았다”며 셀프 수사의 한계를 지적했다.

앞서 지난 10월 국정감사에 출석한 김관진 국방장관은 사이버사령부의 댓글 활동을 청와대에 매일 보고한 거 아니냐는 의혹에 “전혀 사실 아니”라고 부인한 바 있다.

또한, 지난 16일 사이버사의 댓글 활동 내용이 청와대까지 보고됐다는 내용의 사이버사령부 530 심리전단 이 모 단장의 녹취록이 공개된 것과 관련해 “이 단장 스스로가 몸통은 따로 있다고 밝힌 것”이라며 “군의 셀프수사에서조차 530단장은 구속기소방침이고 한두 명이 아니라 20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기소하는 건 조직적으로 정치에 개입했다는 것을 스스로 증명을 하는 것”이라 말했다.

한편, 애초 18일로 알려진 중간 수사발표가 다음날로 연기되자 김광진 의원은(@bluepaper815)이 자신의 트위터에 “사이버사령부 조사결과발표. 또 내일로 연기. 수사에 의한 법리적 판단이라면 답은 하나다. 그런데 계속 여론에 따라 정무적으로 꼬리짜르기를 하려니 고민이 길어지는 듯”이라 전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