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은> 출연, 軍-국정원 연계 가능성 언급
김광진 민주당 의원이 군 사이버사령부의 대선댓글 의혹과 관련, 국방부가 사이버심리전단 요원들에게 댓글 작업에 대한 공적을 기리기 위한 별도의 포상을 제공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16일 김광진 의원은 ‘데일리 고발뉴스’ 개편특집 <뉴스초대석 사실은>에 출연해 이같은 의혹을 제기하며 “(사이버 요원이) 국방장관의 포상을 받은 것은 사실”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의원은 이어 “사령부와 새누리당 의원은 부대가 창설될 때 일반적으로 받는 관례라고 주장하지만 아직 공개하지 않고 있는 상들이 꽤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통령이나 장관상이라고 말하지만 우리가 궁금한 것은 부대 표창이 아니다”며 사이버심리전단 요원들의 댓글 작업이나 블로그에 글을 게시하는 등 업무와 관련된 포상의 존재 가능성을 제기했다.
또한, 김 의원은 이날 군의 정치개입 의혹에 대해 군이 조직적으로 개입했을 가능성이 높다며 국가정보원과의 관련성도 의심해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사이버사령부의 인건비는 국방부 예산으로 충당하고 있지만 운영비는 국정원 예산을 가지고 운영한다”며 “두 명의 직원이 국정원의 컨트롤타워에서 합법적인 파견 근무를 하고 있다. 조직 구성이 그렇게 되어 있기에 군과 국정원은 별개의 기관이라 말하기 어려워 합리적 의심이 든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처럼 국방부는 처음에 (사이버사령부 정치개입 의혹에 대해) 절대 없다고 답변했다가 개인적으로 한 일이라고 말을 바꿨다”며 “김관진 국방장관은 첫날엔 국정원 예산을 받지 않았다고 말했다가 15일에는 국정원 예산을 사용했다고 말했다”며 이같은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이어 “사이버사령부는 국방장관의 직속부대이기에 자기 부대에 자신의 사람을 붙여 조사를 시킨다”며 “국방부는 능력도 없을 뿐만 아니라 (조사를) 한다고 할 수도 없다. 밝혀진 4명의 사람이 군복을 입고 있는 사람인지 아닌지부터 밝혀내야 한다”고 꼬집었다.
앞서 지난 14일부터 시작된 박근혜 정부의 첫 국정감사에서 군의 대선개입 의혹이 잇따라 제기돼 파문이 일고 있다.
김광진 의원은 국감 첫날 “국군사이버사령부 소속 530 요원들이 지난 18대 대선에서 여러 댓글작업을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폭로하며 “국가기관이 선거에 개입하거나 국내정치에 관여해서는 안 되는데 사이버사령부에서 대선기간 댓글 작업을 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의 이 같은 주장에 대해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있을 수 없는 일로 (대선 개입은)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관련 사실을 부인했으나 다음날인 15일 국방부는 법무관리관과 조사본부장을 불러 사실 확인을 위한 합동 조사를 지시한 상태다.
한편, 김광진 의원은 이날 방송에서 군 헌병대 수사관이 복무 중 사망한 군인의 어머니에게 성적인 만남을 요구하는 문자메시지를 보내 파문을 일으킨 사건과 관련, 이에 대한 입장을 밝히며 대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김광진 의원의 군 정치개입 의혹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16일 ‘go발뉴스’ 홈페이지와 유투브, 아이블러그를 통해 업로드 되는 ‘데일리 고발뉴스’ <뉴스초대석 사실은>을 통해 방송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