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언련 “사이비 언론‧부정 권력에 책임 물어야”
국정원이 보수단체와 보수인터넷 매체를 ‘관리’하며 원하는 기사 내용을 청탁하기도 하고, 보수인터넷 매체들의 기사를 게시 혹은 리트윗하며 ‘선거개입’에 활용해 온 정황이 포착됐다.
9일 민주언론시민연합(이하 민언련)이 발표한 ‘국정원 연계의혹 보수 인터넷매체 ‘국정원 연계의혹 보수 인터넷매체 실태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원색적인 야권 비난글이나 여당 홍보글이 출처나 소속기자 표시 없이 여러 매체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이 드러났다.
민언련은 또한 “돌려쓰기된 기사 내용은 국정원이 트위터를 통해 대량 유포한 흑색선전 내용과 중복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민언련은 지난해 11월 15일 <뉴스파인더>에 올라온 <연평도 포격 2주기, 자유진영 ‘총궐기’>라는 기사를 예로 들었다.
이 기사는 다른 보수 인터넷매체에도 같은 제목으로 올라왔는데, <업코리아>의 경우 기사 출처나 소속기자 표시가 없었고 <독립신문>, <IPF 국제방송>은 내용을 정리한 기자만 표시돼 있을 뿐 자사 기사처럼 노출한 상태였다.
민언련은 이 같은 ‘기사 돌려쓰기’가 이례적인 일인지 알아보기 위해, 보수 인터넷매체 7곳에 지난해 11월 20일부터 30일까지 올라온 기사(칼럼 제외)를 전수 조사했다.
그 분석 결과 7개 매체 중 5개 매체가 중복기사 비율 7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뷰>는 73건의 기사 중 73건으로 중복기사 비율이 100%에 달했고, <독립신문>도 83건 중 79건으로 중복기사 비율이 95.18%나 됐다. 이밖에 <서울톱뉴스> 74.19%, <뉴스파인더> 73.19%, <인터넷타임즈> 73.08%, <뉴스코리아> 57.78%, <업코리아> 57.14% 순이었다.
특히 민언련은 이들 매체가 보수단체 활동, 야권 대선후보 비판, 여권 대선후보 홍보, MBC노조 비판, 북한 안보문제 관련 기사 등을 ‘돌려쓰기’했다며 “국정원이 트위터를 통해 야권에 불리한 이슈를 조직적으로 대량 유포했듯, 보수 인터넷매체들도 같은 기사를 ‘돌려쓰기’하며 유포에 나선 것은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고 분석했다.
민언련은 이어 “이 중 <뉴스파인더>, <독립신문>, <인터넷타임즈>는 국정원 심리전단이 트윗을 통해 유포한 것이 발견된 매체이기도 하다”며 “국정원이 보수인터넷 매체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왔다는 검찰의 조사 내용을 비춰보면, 이들 매체가 보인 보도행태는 상당히 의심스럽다”고 밝혔다.
또한 민언련은 이런 보수 인터넷매체들이 자체 생산 기사가 아닌 ‘돌려쓰기’ 기사가 많아 신문법이 요구한 조건을 충족하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 매체가 취재인력 2명 이상을 포함해 취재·편집인력 3명 이상 상시 고용, 주간게재 기사 건수의 30%(100분의 30) 이상을 자체 생산 기사로 할 것 등의 요구사항을 위반할 소지가 있다는 점이다.
민언련은 “국정원이 일부 보수인터넷 매체들을 조직적으로 불법선거운동에 동원했고, 그 같은 불법 커넥션에 의해 이들 인터넷매체들은 ‘보도’를 가장해 ‘저열한 돌려쓰기’식 불법선거운동에 매진한 정황이 검찰 조사에서 드러났다”며 “국회와 검찰은 국정원 이들 보수 인터넷매체들 간의 검은 커넥션을 수사해 응분의 법적 책임을 묻고, 문화부와 서울시 역시 등록요건 미달과 관련해 제기되는 의혹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입장 표명과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