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朴에 임명제청.. SNS “삼성떡값 의혹 黃 못 믿어”
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후임 인선이 윤곽을 드러냈다. 검찰총장 후보추천위원회는 24일 첫 회의를 열고 총장 후보로 추천된 검찰 전․현직 간부 10여 명의 심사에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23일 <이투데이> 등에 따르면, 전직 검찰 간부 후보로는 박상옥 전 서울북부지검장(57·사법연수원 11기·경기), 김진태 전 대검찰청 차장검사(61·14기·경남), 김홍일 전 부산고검장(57·15기ㆍ충남), 석동현 전 서울동부지검장(53·부산), 한명관 전 대검 형사부장(54·서울) 등이 포함됐다.
현직 검찰 간부 후보로는 길태기 검찰총장 직무대행(55·15기ㆍ서울), 소병철 법무연수원장(55·15기ㆍ전남)이 후보에 올랐다. 임정혁 서울고검장(57·16기ㆍ서울), 조영곤 서울중앙지검장(55·16기ㆍ경북), 김현웅 부산고검장(54·16기ㆍ전남), 이득홍 대구고검장(51·16기ㆍ대구), 김수남 수원지검장(54·대구) 등 5명이 물망에 올랐다.
차기 검찰총장 후보에는 당초 19명의 후보가 물망에 올랐으나 법무부의 인사 검증에 동의하지 않거나 후보에서 제외돼 최종 12명으로 좁혀진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총장 후보추천위원회는 12명 중 3명 이상을 황교안 법무부 장관에게 추천하게 된다. 황 장관은 이 중 한 명을 총장 후보자로 대통령에게 임명제청한다. 위원회가 첫 회의에서 3명 이상의 후보를 결정하지 못하면 한 차례 더 회의를 열 수 있다.
차기검찰총장 후보자에 대한 윤곽이 드러나자 이를 두고 트위터 등 SNS상에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한 네티즌(seo****)은 “길태기 검찰총장 직무대행은 청와대 김기춘으로 부터 차기 검찰총장으로 낙점 받아서 윤석열 수사팀을 사실상 와해시키고 있는 걸까요?”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또 다른 네티즌들은 “황교안은 수사 막았잖아? 그런 자가 무슨 명분으로 총장을? 장관부터 갈아 치워라”(k*), “황교안이 추천하는 것은 믿을 수 없다. 그는 삼성떡값 의혹 대상자다”(디*), “제발 보편적 정상인이 됐음 좋겠다”(이**), “검찰의 수사 독립을 외쳐야 하나! 삼권분립의 민주주의에서...씁쓸하다!”(비개***), “정치검찰의 귀환이 되겠군!”(돈**), “맞춤 패돌리기 하겠지”(풍*)라며 황교안 법무부 장관에 대한 불신과 우려 등을 나타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