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합동조사단 “하천 환경 악화로 폐사” 첫 공식 인정
지난해 10월 금강에서 발생한 물고기 집단 폐사의 원인이 4대강 사업에 따른 서식환경 변화와 용존산소부족 때문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이명박 정권의 4대강 사업이 하천 생태환경을 악화시키고 있음을 보여주는 최초의 공식 조사결과로 파장이 일 것으로 보인다.
충남 금강 물고기 집단폐사 민관합동조사단은 21일 “물고기 폐사 양상을 종합한 결과 용존산소 결핍에 의한 물고기 폐사의 대표적인 징표가 관찰됐고 다른 원인에 따른 물고기 폐사 특징과 들어맞는 징후는 관찰되지 않았다”며 “4대강 (금강)사업에 의한 서식환경 변화와 유기물의 퇴적, 퇴적된 유기물의 분해에 따른 용존산소의 급감으로 폐사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다.
전문가·환경단체 관계자 등 총 9명으로 구성된 합동조사단은 물고기가 떼죽음 당한 이후 지금까지 폐사 원인을 조사해왔다.
이들은 “폐사가 시작된 곳은 4대강(금강) 사업 이후 유속이 변화하면서 유기물 퇴적이 많고 부영양화에 따른 조류 번식 등의 영향도 많은 지역”이라며 “백제보와 백제보 상류 7km 구간에 대한 퇴적물 분석결과 유기성분이 이 지역에서부터 늘어났고 집단폐사 당시에는 퇴적된 유기물의 분해로 이곳에서 용존산소가 급감해 용존산소의 부족이 초래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사단은 당국이 폐사 발생 직후 사체 수거에만 집중하고 사체가 하류로 떠내려가는 것을 차단하는 등 초동대응이 미흡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국립환경과학원어류폐사 조사지침서에 따른 신속 정확한 원인규명을 위한 현장조사와 증거 수집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조사단은 “4대강 사업으로 여울이 없어지고 흐름이 막힌 금강에서 이와 유사한 수질오염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대형보 시설로 인한 유속 감소와 서식 환경 변화의 영향을 줄이고 유기오염물질의 퇴적을 줄일 수 있도록 수문을 개방하는 등 합리적인 보 운영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해당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이게 뭔 지*이냐. 돈은 돈대로 날리고 환경은 환경대로 망치고”(이**), “MB는 꼭 금강에 서식하는 물고기로 다시 태어나시길..”(살다**), “눈 먼 장님도 보지않고 알 수 있는 사실을.. 지들만 몰라!”(우주**),
“고인 물은 썩는다는 걸 이명박 정부와 이 정부와 새누리당만 몰랐던 건가? 아님 알면서도 그냥 진행한 것인가? 초등학생도 아는 평범한 사실들을 몰랐을 수는 없었을터.”(일체***), “우선 1차로 훈장 받은 사람부터 조사하고”(더불어****), “현 정부와 새누리당은 이런 사실도 ‘물고기들의 자살’로 발표할 것이다”(아카**) 등의 비난 반응을 보였다.
한편, 조사단은 지난해 10월 금강에서 폐사한 물고기는 약 30만 마리로 추산됐다고 밝혔다. 이는 6만50마리 정도가 폐사했다는 당시 정부의 발표와는 다른 수치로, 폐사 초기의 어종은 대부분 누치의 성체였고 후기에는 20종이 넘는 어종으로 확대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