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차례 ‘녹조’ 가능성 보고에도 4대강 ‘강행’
이명박 정부가 22조가 넘는 비용이 들어간 4대강 사업 후 녹조가 증가할 것을 알고서도 이를 은폐, 4대강 공사를 강행했다는 의혹이 추가로 제기됐다.
23일 <연합뉴스>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민주당 한명숙 의원이 입수한 국립환경과학원의 2009년 12월 ‘4대강 사업에 따른 보 구간 수질영향 예측결과’ 보고서에서 4대강 사업 후 능서보, 이포보, 구미보 등 4대강 중류 지역에서 조류의 원인물질인 클로로필-A가 급증할 것으로 예측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전했다.
해당 보고서에는 수질이 좋은 상류에 있는 여주보, 상주보, 낙단보 등은 침전과 자정작용이 원활한 것으로 조사됐으나 상대적으로 수질이 나쁜 중류는 조류가 급속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하류는 사업 시작 전부터 이미 강물의 체류시간과 조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환경부의 이같은 예측은 처음이 아니다. 앞서 3개월 전인 같은해 9월, 환경부는 ‘4대강 관련 종합자료집’이라는 내부보고 기밀문건을 통해 이미 녹조발생 가능성을 충분히 우려하고 있었고, ‘데일리 고발뉴스’는 해당 문건을 단독보도하며 정부의 거짓말을 꼬집은 바 있다. (☞“<단독>정부, ‘4대강 녹조라떼’ 알고도 강행” 기사 보러가기)
한 의원은 “환경부가 국립환경과학원으로부터 이 같은 내용의 보고서를 받은 후 3조9천억원의 예산을 쏟아부어 4대강 수계의 녹조 원인 중 하나인 TP(총인) 줄이기에 나섰지만 강물 체류시간 증가로 녹조가 심해졌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2012년 상반기 16개 보 수역의 조류 원인 물질인 클로로필 예측치를 보면 중류의 9개 보는 4대강 사업 이전보다 17%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 의원은 “이명박 정부는 그동안 녹조는 4대강 사업 탓이 아니라고 전면 부인했다”며 “이번 자료는 4대강 사업 이후 녹조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이명박 정부가 이를 은폐한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 8.6 ‘데일리 고발뉴스’ “<단독> 녹조라떼와 정부의 거짓말”(03분 50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