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편 재승인 심사기준안 ‘봐주기용’…“재심사 기준 강화해야”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의 종합편성채널 재승인 심사기준안 확정을 앞두고 언론 시민 단체가 ‘엄격한 종편 재승인 심사기준 채택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언론노조·민주언론시민연합·언론개혁시민연대는 3일 오전 종로구 <동아일보>, ‘채널A’ 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종편 재심사 기준을 강화해 부적격 종편은 퇴출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들은 “이번 방통위의 종편 재승인 심사기준안을 살펴보면 사업자 퇴출을 전혀 염두에 두지 않은, 이른바 ‘봐주기용’”이라며 “오늘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재승인이 확정되는 내년 3월까지 종편 선정과정에서 드러난 불법과 편법 등을 밝히고, 막말·거짓말 방송으로 상징되는 불공정 보도 내용을 국민들에게 알리겠다”고 밝혔다.
강성남 전국언론노조 위원장은 “언론계에도 4대강이 있다, 바로 4대 종편”이라 말하고, “4대 종편은 방송 생태계를 파괴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강 위원장은 “문제는 종편의 막말 방송이 고착화 돼 간다는 것”이라며 “종편의 특혜가 당연시 되고, 방송의 내용이 품위가 없고 공정치 않아도 재밌어야 된다는 의식이 퍼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이들은 기자회견이 열린 ‘채널A’의 지난 방송 행태들에 대해 비판했다. 최정기 언론노조 조직쟁의부장은 “‘채널A’는 재승인 과정에서 퇴출 1순위”라며 “공정보도와 관련해 가장 낮은 점수를 받고 있고, 지난 5월 5·18 북한국 개입설, 이석기 의원 변장 도주 보도 등 막말, 저질 방송을 일삼았다”고 규탄했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김용필 5·18서울기념사업회장도 “역사와 재판, 정부발표를 통해 모든 게 증명된 5·18을 북한군이 내려 왔다고 한 방송을 보고 정부가 가만히 있는 것은 큰 잘못”이라며 “정부가 무책임한 발언을 하는 언론사를 사라지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이들은 4일 방통위가 전체회의에서 의결할 재승인 심사 기준안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이희완 민언련 사무처장은 “방통위 심사안의 평가 항목을 두고 정치적 고려가 개입될 여지가 크게 짜여졌다”고 지적하고, “비계량평가 비중이 많은 것은 합리적으로 수치화 할 수 없는 평가 항목이 있다는 것이고, 이는 심사위원들의 주관적 판단·정치적 고려 등이 개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이 사무처장 ‘go발뉴스’에 “앞으로 내년 재승인이 있기 전까지 국민들과 언론학자들로 구성된 ‘국민 검증단’을 구성해 종편 재승인에 대한 방통위의 심사를 감시하고 조사해 국민에게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 9.3 ‘데일리 고발뉴스’ “낙제없는 시험, 종편방송 괴물되나” (02분 28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