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죽음의 강’ 만든 MB정부…책임 명백해져”
폭염이 끝났음에도 낙동강에 ‘가을 녹조’가 전 구간에 걸쳐 창궐한 가운데, 창녕함안보 일대에 수질예보 ‘경계’가 처음 발령되며 식수공급에 우려를 빚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4대강 보가 강물 흐름을 막아 녹조가 생긴 것이 입증됐다며 정부당국을 강하게 비난했다.
11일 환경부 산하 낙동강유역환경청은 10일 오후 5시를 기준으로 창녕함안보 지점의 수질예보가 ‘관심’단계에서 ‘경계’단계로 격상되었다고 밝혔다.
‘경계’단계 발령은 총 4단계(관심→주의→경계→심각)의 수질관리 단계 중 3번째로 높은 단계로, 낙동강에서 경계단계가 발령된 것은 지난해 1월 수질예보제 운영이 시작된 이래 처음이다.
함안보의 남조류 세포수는 불과 5일 만에 13배나 증가했다. 지난 4일 ㎖당 1만 5천여개에서 9일에는 20만 2천여개로 급증한 것이다. 클로로필 -a 농도도 123.3mg/㎥로 경계단계 기준인 35mg/㎥를 세 배 이상 초과했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조류 먹이물질인 영양염류(T-P)가 풍부한 상태에서 일사량, 수온, 강물 체류 시간 등의 조건이 최적이어서 남조류가 급격히 증가했다며, 9월 말까지 남부지방의 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은 적을 것이라는 기상예보를 고려할 때 남조류는 당분간 증감을 반복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낙동강유역환경청 심무경 청장은 “녹조발생이 최초 관찰된 6월부터 계속 비상근무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완연한 가을에 접어든 만큼 수온이 떨어지면 녹조가 해소될 것”이라며 “녹조가 완전 소멸될 때 까지 안전한 수돗물 공급에 차질이 발생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환경단체들은 가을이 왔음에도 폭증하는 녹조가 ‘4대강 보’ 때문이라며 정부를 강하게 질타했다.
대구환경운동연합은 11일 성명서를 통해 “지난 6월 초 첫 발견 후 4개월 동안 녹조현상을 줄곧 달려왔고 줄어들 조짐마저 없어 낙동강을 식수원으로 하는 시민들의 불안감은 더욱 증폭될 수밖에 없다”며 “가을까지 창궐한 녹조는 환경당국이 지난해부터 그렇게 줄기차게 강변해온 ‘폭염이 녹조라떼 현상의 주범’이 아니란 것을 입증해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구환경연합은 “4대강 보로 인한 강물의 정체 즉, 흐르지 않은 강을 만든 4대강 보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창궐하고 있는 녹조대란 사태의 근본원인이란 것”이라며 “녹조대란 사태로 4대강을 썩어가는 죽음의 강으로 만든 장본인으로서 ‘이명박 4대강 정부’의 책임이 명백히 밝혀진 것이다”고 질타했다.
이들은 이어 “이것은 범죄행위다. 30조에 이르는 국민혈세를 탕진한 것도 모자라 국토의 근간이 되는 강을 죽음의 강으로 만들어 강을 썩게 만들고 그 안의 무수한 생명들마저 죽음의 구렁텅이 속으로 몰아넣었다”며 “‘4대강 책임자 국민고발단’을 모집해 현장에서 진실을 증언하고 4대강 정부를 반드시 심판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감병만 마산창원진해환경연합 사무국장도 <오마이뉴스>에 “10일 낙동강 답사를 했는데 전 구간에 걸쳐 강 가장자리부터 중앙지점까지 녹조가 발생해 있었다”며 “가을이 되어 수온이 낮아졌는데도 (녹조가) 발생하는 것은 그것이 원인이 아니라 물의 흐름이 느려 고여 있기 때문으로 4대강 보 수문 개방과 철거가 대책”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창녕함안보 상류 500m 지점에서는 수질예보제가, 보 상류 12km 지점에는 조류경보제가 각각 운영되고 있는 상태다. 수질예보제는 보 설치 등 4대강 사업에 따른 하천의 환경 변화에 대응키 위해 16개 보 구간을 대상으로 운영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