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부, 4대강 보 폐해 ‘은폐’ 시도

환경부 “MB정부, 공무원 동원 인위적으로 녹조 걷어내”

이명박 정부가 4대강 사업 이후 ‘녹조라떼’라는 말이 유행할 정도로 녹조 문제가 사회 관심사로 떠오르자 지방 공무원을 동원해 인위적으로 녹조를 걷어내 4대강 보의 폐해에 대한 은폐를 시도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겨레>에 따르면, 환경부는 9일 ‘낙동강 보가 녹조 확산의 한 원인’이라는 윤성규 환경부 장관의 발언 등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설명자료를 내고 “전 정부에서는 녹조 문제가 부각되는 것을 두려워해 강변의 녹조를 공무원들이 인력으로 걷어내 시각적으로 숨겼다”고 밝혔다. 이 자료에서 환경부는 “상수원으로 이용되지 않는 영산강에서도 (녹조를 은폐하기 위해)댐 방류를 실시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국토교통부는 “녹조가 많아지면 미관이나 악취 문제로 환경부와 취수장 관리자, 보를 관리하는 수자원공사 등이 일상적으로 제거 작업을 하고 있다”면서 “지방환경청 등이 나서 녹조를 걷어낸 것이 4대강 사업의 폐해를 은폐하기 위한 조처는 아니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강정고령보 상류 22.6킬로 지점 ⓒ 대구환경운동연합
강정고령보 상류 22.6킬로 지점 ⓒ 대구환경운동연합

한편, 윤성규 장관은 이날 기자감담회를 열어 “4대강 사업 이전에 낙동강에서 조류 조사를 하지 않은 것은 조류 양이 적었기 때문”이라며 “인‧수온‧일사량 등 다른 조건이 충족됐을 때 유속이 떨어지면 녹조가 더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이는 4대강 보 때문에 녹조 확산이 가중됐을 수 있다고 보고한 지난 6일 국무회의 발언을 재확인한 것이다.

윤 장관은 “유속이 5분의 1정도 줄면 조류 농도는 보 건설 전보다 40%정도 증가한다는 예측이 있다”며 “다른 요인이 녹조 발생 유해 조건에 도달했을 때 보 건설로 인해 유속이 저하되는 부분이 녹조 확산을 촉진하는 것은 시뮬레이션을 통해서도 다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윤 장관은 녹조 원인 제거를 위해 4대강 보를 철거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4대강 사업 조사평가위원회가 보 철거의 기대이익이 큰지 작은지에 따라 평가 결과를 낼 것”이라며 즉답을 피했다고 <한겨레>는 전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