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사업으로 여주군 다리 5개 ‘붕괴’

남한강 본류 과도한 준설, 하천 직강하로 피해 규모 확대

이명박 정부 당시 추진한 4대강 사업 이후 경기 여주군의 다리 5개가 붕괴되는 등 수해의 규모가 더욱 커졌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9일 <경향신문>에 따르면 ‘4대강 사업 국민검증단’(이하 검증단)은 민주당 4대강 사업 진상 조사 위원회와 공동으로 여주군 흥천면, 대신면, 금사면 등 수해지역에서 4대강 사업 이후 발생한 피해실태 조사를 9일 실시했다.

ⓒ ‘4대강사업국민검증단’
ⓒ ‘4대강사업국민검증단’

검증단은 “4대강 사업 이후 여주에서 다리 5개가 무너졌다”며 “4대강사업 이전에는 교각 위까지 강물이 넘쳐도 다리가 무너진 곳은 한 곳도 없었는데 수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라며 4대강 사업을 실시한 이후 수해 피해는 오히려 늘어났다”고 지적했다.

검증 결과 붕괴된 교량은 여주읍 연양천 신진교(2010년 9월), 대신면 한천 용머리교(2011년 10월), 북내면 금당천 세월교(2011년 10월), 금사면 금사천 전북교(2013년 7월), 흥천면 복하천 복대3리교(2013년 7월) 등 5개로 밝혀졌다.

검증단은 특히 지난달 집중호우 당시에 붕괴된 전북교는 남한강 본류를 과도하게 준설해 발생한 역행침식이 사고의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여주군의 경우 저수지 붕괴, 지천 다리 붕괴 등 본류가 아닌 곳에 피해가 집중됐다고 지적했다.

여주의 이번 수해 피해액은 260억원으로 이중 절반 이상이 4대강 사업으로 인한 준설과 하천 직강하로 인해 피해 규모가 확대된 것으로 드러났다고 검증단은 밝혔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