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단독회담’ 제안…“담판 통해 정국 해법 찾자”
청와대가 민주당의 ‘5자회담’ 거부와 관련, 유감을 표명한 가운데 새누리당은 5자회담을 즉각 수용하라며 야당을 압박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당초 김한길 대표가 제안했던 단독회담을 재차 청와대에 제안했다. 대통령과 제1야당 대표가 만나 담판을 통해 정국의 해법을 찾자는 것이다.
민주당은 7일 박근혜 대통령의 5자회담 제안을 공식거부하고 단독회담을 요구했다. 김한길 대표 비서실장인 노웅래 의원을 통해 “김 대표는 제1야당 대표의 단독회담 제안에 대해 대통령께서 사흘 만에 다자회담 제안으로 답하신 것을 아쉽게 생각하고 있다”며 “대통령께서 현 정국의 심각성을 직시하고 그에 따른 해법을 진지하게 고민하신 결과가 이같은 5자회담 역제안일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노 의원은 “김 대표는 대통령과의 단독회담을 다시 한 번 박 대통령께 제안 하고자 한다”며 “단독회담의 형식이나 의전에 개의치 않는다고 말씀드린 바 있다. 박 대통령께서 야당대표 시절 노무현 대통령에게 요구했던 영수회담의 틀이나 의전과는 결코 다른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이에 청와대 이정현 홍보수석은 김기춘 신임 비서실장이 이날 오전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여야 당대표로부터 대통령과의 회담제의가 있어 대통령께서 회담을 하자고 했는데 이번에도 또 민주당이 거절해 유감스럽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김 비서실장은 “국민을 위해 만나 산적한 현안을 논의하는 게 좋다고 보는데 안타깝다”며 “청와대는 문을 열어놓고 기다릴 것이다”고 야당의 회담 수용을 압박했다.
정치권에서는 회담형식에 대한 청와대와 야당간의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는다면 갈등의 골만 더 깊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여야가 현 난국을 풀어보겠다는 노력보다는 참석자의 범위와 형식을 놓고 줄다리기 하듯 기싸움만 벌이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이날 오전 최고·중진 연석회의에서 “회동의 의미를 생각하면서 거리를 좁혀 조속히 성사되길 바란다”며 “다툼을 줄여서 같은 것을 넓히는 것이 정치의 본분이라면 대통령과 여야의 만남의 장이 무르익어가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유일호 새누리당 대변인도 “하루속히 만나 갈등을 풀고 정국 현안에 대한 해법을 논의해야 함에도 형식 문제로 인해 만남이 자꾸 미뤄지고 있는 모습을 보며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수 없다”며 “민주당이 진정 국정과 민생 안정을 위한다면 지금이라도 회담의 형식과 의제에 구애받지 말고 청와대의 제의에 답해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그러나 야당은 장외투쟁을 강화할 뜻을 보이며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양승조 최고위원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장외투쟁 문제는 민주당이 요구하고 국민이 요구하는 목표들이 실현되기 전 까지는 국정조사가 정상화 되더라도 장외투쟁을 접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민병두 전략홍보본부장은 “현 상황에 대한 해법이 도출되지 않는 한 9월 정기국회에서 법안심의나 예산안 심사는 상당히 늦춰질 수밖에 없다”며 “국회선진화법에 따라 새누리당 단독으로는 어떤 법안도 채택할 수 없는 상황이다”고 밝혔다.
회담 형식을 놓고 청와대와 민주당이 지속적으로 갈등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청와대와 여야 모두 대화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기에 ‘회담’이 또 다른 급랭 정국의 돌파구가 될지 모른다는 기대감도 일각에서 전해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