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재발방지 촉구
노량진 수몰사고에 이어 방화대교 붕괴사고까지 잇따른 공사현장 사고에 ‘인재’ 비판이 거세다. 공사의 발주처인 서울시가 대형공사장 49곳에 대한 특별안전점검을 실시하겠다고 밝혔지만 사후약방문이라는 비난을 면키 어려워 보인다.
30일 오후 서울 방화대교 남단 인근 접속도로 공사 현장에서 대교 남단과 대교를 잇는 접속도로가 무너져 근로자 3명이 매몰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중국 근로자 최창희(52)·허동길(50)씨가 무너진 도로와 중장비에 매몰돼 목숨을 잃고 김경태씨(59)는 중상으로 병원에 후송됐다. 콘크리트 타설 도중 상판이 기울면서 콘크리트 타설기가 추락한 뒤 떨어진 상판에 깔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서울시는 노량진 수몰사고와 연이어 발생한 방화대교 붕괴사고에 대형공사장 49곳에 대해 특별안전점검을 하기로 31일 결정했다. 외부전문가와 공무원이 합동으로 점검한 뒤 현장에서 문제가 발견될 경우 즉각 공사 중단과 대책 마련을 우선적으로 할 계획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점검은 이날부터 오는 8월 7일까지 외부전문가와 공무원 등 41명이 팀을 이뤄 나설 예정이다.
조성일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노량진 사고 후에도 대형공사장 현장 점검을 했는데 그 때는 실무급 공무원들만 했다”며 “이번에는 외부 전문가들과 간부급 공무원들이 직접 나선다”고 밝혔다.
조 본부장은 삼풍백화점과 성수대교 사고 이후 시행된 책임감리제 문제에 대해서도 “최근 사고로 인해 여러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며 “노량진 사고 이후 시에서 제도 개선 TF를 운영하고 있다. 안전사고 발생 원인이 될 수 있는 모든 부분에 걸쳐 살펴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잇따른 공사현장 사고 소식에 여야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라며 서울시의 책임을 따져 물었다. 강은희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서울시의 안전관리가 전반적으로 느슨하거나 큰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이 아닌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관리·감독자로서 서울시는 신속한 사고수습은 물론, 사고 원인도 철저히 파악해 유사 사고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정미 진보정의당 대변인도 “대부분의 공사현장 사고는 근본적인 법규 미준수, 설계오류, 안전장치 부실 등에서 벌어진다는 점에서 인재로 분류된다. 이번 사고 역시 다르지 않아 보인다”라며 “확실한 제도적 장치와 사용자들의 법규준수 의무를 강제할 수 있는 조치가 따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대변인은 이어 “이번 공사의 발주처인 서울시는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사고의 진상 파악과 책임자에 대한 철저한 처벌에 나서야 할 것”이라며 “이런 사고로 노동자들이 안타깝게 목숨을 잃는 일은 더 이상 없어야 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네티즌들은 잇따른 사고 소식에 안타까움을 드러내며 재발 방지를 촉구했다. 네티즌들은 “대형 안전사고가 계속되는데 책임 있는 대책이 나오지 않아 안타깝다”(바다**), “참 갑갑할 노릇이다. 아직도 다리공사하다 내려앉는 현장이 있으니..”(떡**), “너무 가슴이 아픕니다. 안전하게 공사할 책임이 있는 책임자를 엄중 문책해 주세요”(야*), “조금 늦으면 어떤가. 작업 진행 전에 안전사고 미리미리 점검하면 좋으련만.. 항상 안전을 염려해야 하는데”(삼위**) 등의 글들이 잇따라 게시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