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호우 때마다 유실…안전사고 위험도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의 친환경 사례로 홍보됐던 자전거도로가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
18일 <뉴시스>는 4대강 사업으로 조성된 북한강 강촌 일대 자전거 도로는 정부가 사전 타당성 검토없는 탁상행정으로 인해 전형적인 혈세낭비 사례로 손꼽히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 2011년 12월 26일 개통된 강촌 자전거 도로는 표고가 홍수위보다 낮아 여름철 집중 호우 때마다 침수되는 현상이 매년 반복되고 있다.
얼마 전 폭우 때도 13㎞에 이르는 자전거도로 전체가 침수됐다가 물이 빠지자 도로가 파손되거나 떠내려 온 수초와 쓰레기가 쌓여 흉물스럽게 변하기도 했다.
의암호 주변 자전거도로도 이와 마찬가지다. 잦은 지반 침하와 콘크리트 노면이 일어나는 박리현상으로 이용객들과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특히, 의암호변 3㎞ 구간에는 도로 일부에 균열이 생기고 지반이 내려앉아 부실공사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전거도로 복구비 또한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MB 정부의 장밋빛 자전거도로가 ‘혈세만 먹는 애물단지’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이유다.
이밖에 지난해 17억원을 들인 홍천읍과 북방면을 잇는 고갯길 2㎞ 구간 자전거 도로는 경사가 급해 MTB(산악자전거)동호회원도 올라가기가 쉽지 않고 곳곳에 장애물이 많아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아 이용객들의 발길이 끊긴 상황이다.
그럼에도 정부는 이곳에 또 다시 3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도로 300m 구간을 2m의 폭으로 확장 공사를 마쳐 무용지물인 자전거 도로에 또 다시 혈세를 투입했다. 안행부 역시 2019년까지 1545㎞를 추가 조성할 예정이다.
이에 트위터 등 SNS에서는 “이렇게 될 거 뻔히 알면서도 맹박이하고 새누리가 밀어부친거자나. 그놈의 4대강 결국 혈세먹는 괴물로 변할거다”(@bb****), “정부는 MB에게 구상권 행사하라!”(@7al*******), “자전거도로를 만들었으니 이리 다니라고 하면 사람들이 거기서 타나? 뭐하러 수십조 원이나 들여서 바닷가에 자전거도로를 만들었는지”(@noo*******), “북한강 춘천쪽 자전거 도로는 침수 예상되고 피해도 불가피하다고 했는데도 강행 했다는군 ㅋㅋ 에라이 니돈이면 그러겠냐”(@siv*****)라는 등의 비난이 쏟아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