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정의당·환경단체 “朴 철저히 보관조치 해야”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을 총괄하는 기관인 ‘4대강살리기 추진본부’의 심명필 본부장이 28일 퇴임했다. 심 본부장의 퇴임과 함께 오는 31일 4대강살리기 추진본부는 해체된다.
이에 4대강조사위원회와 4대강복원범국민대책위원회 등 시민단체들은 28일 논평을 내고, 박근혜 당선인에 4대강 추진본부의 모든 자료 보존조치에 대한 입장을 요구했다.
28일 정은주 환경운동연합 간사는 ‘go발뉴스’에 “박근혜 당선인이 TV토론회에서 ‘4대강 사업에 대해 잘못된 점이 있으면 위원회를 구성해서라도 검토 하겠다’라고 발표 했지만, 당선 이후 여전히 묵묵부답”이라면서 “지난 24일 4대강 자료 보존존치를 요구하는 환경단체의 성명에도 아무런 입장 표명이 없어 박 당선인의 입장을 다시 한 번 촉구하기 위해 논평을 냈다”고 설명했다.
이들 단체는 논평을 통해 “4대강 사업의 결과와 잘못된 점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관련 자료의 확보가 필수적”이라면서 “4대강 관련 정보 및 자료 보존에 관한 특별한 조치를 하지 않는다면 차기정부는 4대강 사업에 대한 검토와 책임 추궁을 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것과 같다”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해 진보정의당도 28일 논평을 내고 “지난 5년간 총 22조원이라는 막대한 혈세를 투입해 이명박 정부 최대 프로젝트로 진행했던 4대강 사업은 차기정부와 국회에서 국정조사 등 반드시 철저한 검증을 거쳐야 할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진보정의당 이지안 부대변인은 “4대강 토목공사는 이명박 정부 입장에서야 최대 치적으로 꼽고 싶겠지만, 국민들에게는 이명박 정부의 최대 실패사업으로 기록될 것”이라면서 “4대강 사업의 타당성은 물론 사업추진 과정에서의 각종 불법행위와 비리조사 등 전면적인 검증”을 촉구했다.
진보정의당을 비롯한 환경단체 등은 한목소리로 박근혜 당선인 및 대통령 인수위에 “31일 이전에 4대강살리기 추진본부의 모든 자료 및 정보를 철저하게 보관하도록 조치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앞서 4대강복원범국민대책위원회는 24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4대강 사업과 관련한 각종 원천정보, 공사 관련일지 및 현황자료, 관련도면 및 영상, 각종 연구자료 및 수집한 정보 등 일체의 모든 자료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4대강살리기 추진본부 해체를 명분으로 관련 자료를 최대한 폐기할 것으로 보이는데 자료의 일부라도 임의로 폐기해서는 안 된다"고 요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