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9%, KBS 수신료 인상 반대…55.3% ‘불공정하다’

네티즌 “국정원 사건 제대로 다뤘나?…밥값하고 밥 달래야지”

KBS가 수신료를 현행 월 2500원에서 4800원으로 대폭 인상하는 데 국민 81.9%가 이를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8일 여론조사기관 <리서치뷰>에 따르면, 민주당 최민희 의원(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의 의뢰를 받아 이날 성인 휴대전화 가입자 1천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KBS 수신료 인상에 대해 응답자의 81.9%가 ‘반대한다’고 답했다.

‘찬성한다’는 응답자는 6.5%에 그쳤고, ‘기타’를 택한 응답자는 11.6%였다.

KBS가 수신료를 인상하기 전에 선행해야 할 일로 37.4%가 ‘공정성과 제작 자율성 확보’를 꼽았다. ‘국민들의 신뢰회복(27.0%), 국민적 공감대 형성(17.9%), KBS 2TV 상업광고 폐지(9.7%) 등이 뒤를 이었다.

이밖에 ‘국정원의 선거개입과 정상회담 회의록 공개에 대한 방송사들의 관련 보도가 공정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55.3%는 ‘불공정하다’며 비판적인 의견을 보였다. ‘공정하다’는 답변은 33.9였고 ‘기타’는 10%였다.

‘박근혜 정부에서의 언론자유가 몇 점이나 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44.7%가 ‘나쁜 편’ (매우28.4%, 대체로16.3%)이라고 답한 반면, 31.3%는 ‘좋은 편’(대체로:12.8%, 매우:18.5%)이라는 긍정적인 평가가 나왔다. ‘보통’ 의견은 24.0%였다.

아울러 오는 9월부터 실시될 예정인 종편 재승인 심사와 관련해서도 부정적인 의견이 더 높게 나왔다. ‘종편을 다시 승인해서 유지시켜야 한다고 보느냐, 아니면 폐지시켜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41.7%로 ‘유지해야 한다’(32.2%)는 의견에 비해 9.5%포인트 더 높았다. 무응답은 26.1%였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KBS'홈페이지 캡처
ⓒ'KBS'홈페이지 캡처

인터넷상에서는 KBS 수신료 인상에 대한 네티즌들의 비판적 의견도 잇따르고 있다.

한 네티즌(개비시**)은 “난 공중파방송 안 본다. 인터넷 신문만 본다. 근데 왜 시청료 내야 되지”라며 “아파트관에서 공동 수신료 나가고 또 개인적인 유선 방송료 나가고...그런데 보지도 않은 개비시 시청료를 내라고. 이건 뭐 공산당도 아니고”라며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또 다른 네티즌 ‘KBS**’는 “KBS 시청료 인상은 없다. 오직 새누리당, 박근혜 정권에만 충성한 KBS다. 촛불 집회 방송 해본일이 있냐. 어용방송 각성하고 KBS 은 없어져라”고 비판했다.

이밖에도 “개비에스는 국민이 바라는 방송 한번이라도 했나. 死대강 그 난리 칠 때 국민은 너무나 궁금했다. 그러나 死대강 단 한 번도 독자 방송한 적 없다. 청와대 나팔방송 개비에스 시청료인상은 절대반대”(나팔방송***), “KBS 수신료 올리고 광고 줄이면, 조중동 종편이 그 광고 받아간다”(조중동***), “여기 추가요...82.5% +1명”(이런**), “밥값을 하고 밥 달라고 해야지, 안 그래? 시청료 인상? 요즘 국정원 대선 개입 사건 제대로 다뤄본 적은 있어?그건 새누리당비에서 달라고 해야 사리에 맞지 않나?”(국민***)라는 의견들이 올라왔다.

한편, KBS가 수신료 인상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민주언론시민연합, 언론소비자주권국민캠페인, 전국언론노동조합, 최민희 의원실 등은 공동 주최로 9일 오후 1시 30분 국회의원회관에서 KBS 수신료 인상 해법 모색을 위한 긴급토론회를 갖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