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창원 “여전히 시민들만..”…서해성 “정의야, 너만 늙었구나”
1987년 6월 민주화항쟁과 6‧29선언의 도화선이 된 고 이한열 열사가 최루탄에 맞아 숨진 지 26년을 맞이한 가운데 트위터에는 9일 그날의 의미를 되새기는 글들이 올라왔다.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는 “1987년 6월 항쟁 당시 전 경찰 대학생으로, 동기생들과 함께 심한 정체성의 혼란을 겪었다”며 “‘시민항쟁’ 상황에서 경찰대학생의 존재의의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친구들과 조를 나눠 교수, 신부, 기자 등 ‘현자’들을 찾아 조언을 구했다, 한결같이 ‘시민의 편에 서겠다는 마음 굳게 다지며 미래를 위해 제자리를 지켜라’”고 당시를 되짚었다.
표 전 교수는 “10년 여 경찰관 생활을 하며, 그리고 사직후 경찰대 교수 생활을 하며, ‘1987년 6월의 약속’을 지키겠다 마음속에 새기며 살았다”며 그러나 “여전히 용산참사와 대우자동차 사태와 쌍용, 한진 등이 발생하는 것을 보며 무력자의 회한과 상처가 덧났다”고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특히 국정원 사건과 관련해 표 전 교수는 “국정원 사건 발생 6개월, 다시 6월이 왔다”며 “정부는 그때처럼 거짓과 술수로 넘어가려 한다. 1987년처럼 무식한 폭력을 사용하지 않음에, 그 대신 ‘법’이라는 도구를 교묘히 사용함에 감사해야 할까요, 울어야 할까요”라고 개탄했다.
표 전 교수는 “지금도 여전히 시민들만, 힘없고 먹고 살기 바쁜 시민들만 분노하며 감정을 추수르지 못해 거리로 나선다”며 “그 힘없는 소수의 모습에 너무 미안하고 감사하고, 슬프다”고 말했다.
고상만 전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조사관은 “6월 9일. 87년 이한열 열사가 최루탄에 피격된 날이다. 민주주의를 위 자신을 던져 희생된 분들이 이리 많은데 일베충 따위가 세상을 어지럽히는 안타까운 세상이다”며 “고 이한열 열사의 값진 희생에 다시 한번 생각한다”고 이날의 의미를 되새겼다.
소설가 서해성 교수는 “정의야 너만 너무 늙었구나”라고 토로하는 시를 올렸다. 그는 “정오가 뜨겁다/이한열이 직격 최루탄에 맞아 쓰러지던 대낮처럼/오늘은 태양도 죄가 있다/정의가 비루할수록 햇살은 눈부시고 새벽은 밝다/백양로 포플러 사이로 이한열도/6월도 그대로인데/정의야/너만 너무 늙었구나/오늘/격발되지 않는 모든 정의는 비겁해서 뜨겁다”고 적었다.
이런 가운데 당시 민주화 역사를 증언하는 소중한 자료인 이한열 열사의 마지막 옷가지, 운동화 등 유품 보존이 비용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안타까움을 더해주고 있다.
<경향신문>에 따르면 연세대 박물관측은 “시간이 흐르면서 기본 재질이 망가지는 데다 당일 혼잡한 상황 속에서 땀과 피, 최루가스, 응급약품 등이 섞여 옷 자체가 많이 손상된 상태”라며 “적절한 온도나 습도를 갖추고 자외선을 방어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한데 보존환경이 좋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한열기념사업회측은 적절한 보관시설을 갖추려면 1000만원 가량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모금을 통해 비용을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