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승춘, 朴얼굴에 ‘찬물’.. ‘임을위한행진곡’ 사실상 ‘제창’

황우여‧김문수도 따라불러, 朴은 ‘기립’만…방송사 朴모습 안비춰

논란이 됐던 ‘임을 위한 행진곡’이 5·18민주화운동 33주년 기념식에서 마지막 순서에 합창으로 진행됐으나 대부분 참석자들이 일어서서 노래를 따라 불러 사실상 ‘제창’ 형식이 됐다. 여당 인사들도 일어나 노래를 불렀고 박근혜 대통령도 일어났다. 

그러나 국가보훈처의 제창 거부 결정에 반발해 5·18단체, 광주광역시의회 등이 이날 대거 불참해 ‘반쪽짜리’ 기념식이 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이제 5·18 정신이 국민통합과 국민행복으로 승화돼야 한다”고 강조했지만 보훈처의 무리한 결정이 박 대통령의 얼굴에 찬물을 끼얹는 결과를 초래한 것이다.

이날 오전 10시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33주년 기념식의 마지막 행사로 인천오페라합창단이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합창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참석자들이 일어나 노래를 따라 불러 ‘제창’ 형식이 됐다.

박지원, 문희상 민주당 의원, 노회찬 진보정의당 대표 안희정 충남지사, 무소속 안철수 의원 등 야권 인사들은 물론 김문수 경기도지사, 김범일 대구 시장,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 등 새누리당 인사들도 일어나 노래를 따라 불렀다.

박근혜 대통령, 허태열 대통령 비서실장도 노래가 나오자 일어났다.

야당의원들과 민주화운동 유가족들은 주먹을 쥐고 흔들고, 태극기를 흔드는 모션을 취했지만 안철수 의원, 김문수 지사는 노래만 불렀다.

박근혜 대통령은 강운태 광주시장으로부터 태극기를 건네받아 일어났지만 노래를 따라 부르지는 않았다. 대통령 옆자리 참석한 황우여 대표는 일어나 노래 합창에 참여했다.

이같은 모습에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는 트위터에 “모두가 부르는 ‘제창’ 아닌 합창단만의 ‘공연’. 어차피 다 따라 부르잖아요”라며 “대통령 부르는 모습 보이지 않겠다는 과잉충성”이라고 국가보훈처를 비난했다.

표 전 교수는 “절반의 빈자리가 너무 가슴 아프다. 불참 결정한 유가족과 부상자 및 관련 단체의 결정 아픈 마음으로 존중하고 지지한다”며 “노래 하나에 국가행사 망치고 국론 분열한 국가보훈처장, 파면하고 처벌하라”고 박승춘 보훈처장을 규탄했다.

트위터리안 ‘mett*****’은 “결국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보훈처가 끝까지 거부한 이유를 오늘에서야 알게 되었군”이라며 “박근혜가 5·18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했군”라고 지적했다.

<오마이뉴스> 권우성 기자는 “5·18기념식 생중계 ‘임을 위한 행진곡’ 부를 때 박근혜 모습 안 보여줌”이라며 “북한이 울고 갈 방송이네”라고 방송 언론의 보도 행태에 일침을 날렸다.

트위터리안 ‘__ho***’은 “2004년 5·18기념식에 참석한 노무현 대통령 부부는 함께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했다”며 “2013년 기념식에서는 제창인 아닌 합창으로만 이 노래를 부르게 하고 박근혜의 모습은 TV화면에 한번에 비추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kid****’도 “임을 위한 행진곡 합창에 맞서 참석자들이 태극기 흔들며 일어서서 노래하자 박근혜를 TV에서 사라지게 하고 경호원들은 5.18 단체들 주위를 둘러싼다”며 “이게 대한민국의 화합 못할 현실”이라고 시청평을 올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