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시민단체 “MBC 새사장, ‘김재철 청산’할 인물 뽑아야”

“특별다수제 도입 등 정치적 불균형 해소 장치 마련해야”

민주언론시민연합, 언론개혁시민연대 등 시민단체는 18일 ‘MBC 새 사장 선임에 대한 제안문’을 발표하고 새 사장 선임에 특별다수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공영방송 기능이 상실된 MBC를 바라보는 시민사회의 우려는 매우 크다. 김재철이 물러나 어렵게 얻은 회생의 기회를 차일피일 미뤄서는 결코 안 될 것”이라며 “MBC의 새로운 사장은 김재철 체제의 유산을 청산할 수 있는 인물이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MBC의 새로운 사장은 공영방송 MBC의 가치를 이해하고 이를 실현하는 인물이어야 한다. 방송의 독립성과 공정성을 구현할 철학과 경륜을 갖추고 거대권력의 횡포를 감시, 무너진 제작편성의 자율성을 복구·제고할 수 있는 인물이어야 한다”며 “노사관계에 있어 민주주의에 부합하는 건강한 상식을 가져야 하고, 해고 등 각종 징계를 당한 조합원들의 명예와 원상회복과 노사 간의 협약을 성실히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 단체는 MBC 새 사장의 선임의 조건과 절차에 대해 “합리적이고 공개적인 절차를 통해 적임자를 선임하고 방문진의 정치적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며 “여야추천이사 동수의 사장추천위원회를 구성하거나 특별다수제 도입 등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MBC의 사장은 대주주인 방문진이 내정하면 정수장학회와 방문진이 구성된 주주총회에서 임명하는 방식이다. 방문진 이사진은 여권성향 6명과 야권성향 3명으로 보통 분류된다.

이들은 특별다수제를 도입할 경우 가결 요건을 3분의 2 등으로 높이면 여야의 합의를 통합 새 사장 선임이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이어 “공영방송으로서 MBC의 위상은 땅에 떨어졌다. MBC 정상화의 선결 과제는 김재철 체제를 청산하는 것”이라며 “정부조직개편 과정에서 여야가 합의해 설치한 방송공정성특위에서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새 사장 선임의 과정과 결과과 MBC의 공영성을 회복하고, MBC가 공영방송의 주인인 시청자와 시민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방문진은 본연의 사회적 책무를 다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