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 “성인사이트 실태파악 위해 누드사진 검색”…네티즌 “성누리당”
국회 본회의장에서 스마트폰으로 누드사진을 검색해 여론의 뭇매를 맞은 심재철 새누리당 최고위원이 11일, 당시 상황에 대해 상세히 해명하며 정면 반박에 나섰다. 이에 대해 심 최고위원 지역구 여성단체는 “국민들은 상처 받은 상태다. 크게 실망했다. 변명보다는 자숙해야 하지 않겠냐”고 비판했다.
심 의원은 이날 해명자료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받은 문자의 캡처 사진과 해당 블로그의 접속 시간 등 자세한 사항이 담긴 사진 자료들을 첨부, “스마트폰에서 성인인증 절차 없이 성인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는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이었지 의도적으로 누드사진을 검색한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경기 안양지역 여성의 전화 성폭력상담소 김효순 강사는 ‘go발뉴스’에 “학생들 같은 경우도 그런 식으로 노출되고 있어 수긍이 간다. 그러나 회의가 열리는 중에 메시지를 확인한 자체가 이미 회의에 집중하지 않고 있었던 것 아니냐”며 “말도 안되는 변명이라고 생각한다”고 꼬집었다.
김 강사는 “그것도 본회의장에서 정부 개혁안 심의 중인 중요한 순간에 믿었던 국회의원이 행한 행동 자체에 국민들은 상처 받았다”며 “심 의원이 할 일은 자숙하며 열심히 맡은 바 일을 해 줬으면 한다. 앞으로도 계속 지켜 볼 것”이라고 밝혔다.
심재철 최고위원은 “지난달 22일 오후 2시 28분에 동료의원의 『정부조직법 전부개정안』 제안 설명 중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과 관련된 발의취지서를 보고 스마트폰을 통한 무차별적 성인사이트 방문과 관련한 대책마련이 필요하겠다는 생각을 했다”며 “3시 23분 카카오톡을 하던 중 누군가 보낸 주소창을 클릭했더니 ‘다음’의 한 누드 사진 사이트로 연결, 5초 만에 ‘뒤로’ 버튼을 몇 번 눌러 사이트를 빠져나왔다”고 주장했다.
심 최고위원은 “잠시 후 이같은 누드 사이트가 어떻게 성인인증 없이 무제한적으로 살포되는지 의문이 들어 구글과 다음에서 검색했다”며 “구글은 네이버나 다음 등 국내 업체와는 달리 성인인증 없이도 검색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에 실효성 있는 규제와 법안의 필요성을 느껴 실태파악을 위해 3시 43분경 ‘누드사진’ 같은 청소년들이 입력하기 쉬운 키워드를 검색해 1분간 웹문서 목록만 훑어봤다”며 “3시 54분 다시 접속해 누드사진 관련 웹문서 몇 쪽을 살펴보고 선정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한 블로그를 클릭했다”고 밝혔다.
심 의원은 <민중의 소리> 보도가 정치공세라고 주장했다. 심 의원은 “좌파 언론매체들은 종북좌파 이석기, 김재연 국회의원에 대한 윤리위 자격심사소위원회 상정에 대응하는 정치공세로 본 사안을 활용했다”며 “<민중>의 기자가 27일 취재 배경과 목적을 밝히며 ‘이석기, 김재연 의원 자격심사가 국회 윤리위원회에서 다루게 되는데 여기에 심재철 의원이 속해있다’며 보도의 정치적 목적을 드러냈다”고 주장했다.
사건 발생 이후 연락이 닿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도 “정부조직법 표결로 하루 연기된 일본 출장을 다녀왔고 그 사이 야당과 일부 언론은 이를 실종, 잠적으로 매도해 정치 쟁점화 했다”며 “야당은 민주당 대변인 성명 10회, 통합진보당 성명 2회, 진보정의당 성명 1회를 통해 인신공격을 서슴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심 의원은 해명자료 A4 용지 3쪽에 달하는 해명자료 말미에 “이유야 어찌됐든 국회 본회의장에서 십여초간 누드 사진 블로그를 검색한 것은 적절치 못한 행동”이라며 “스마트폰 관련 청소년보호법안을 발의 준비 중이다. 앞으로 더욱 성실한 의정활동으로 보답하겠다”고 밝혔다.
심재철 의원의 해명에 네티즌들은 “은행털다 잡히면 은행 경비상태 체크하려 해봤다라고 하면 되겠네ㅎㅎ”(미스***), “여태 생각해서 짜내고 짜낸게 이거냐ㅋㅋ”(쿠웅***), “사람들이 어차피 ‘성누리당’이라는 거 다 알고 있는데... 차라리 당일날 쿨하게 인정했음 쉽게 넘어갈 수 있었을텐데요..ㅋㅋ”(윤선*****),
“그럼 정우택은 전 세계 성매매 실태 조사하러 대만 일본 미국 원정간거니?”(도트***), “에이 찌질하게 그냥 시원하게 보고 싶어 봤다 너넨 안보냐 그러면 남자들이 지지할텐데 쯔쯧”(인*), “근데 그렇다치고 그걸 왜 정부조직법 통과 못해서 난리난 국회에서 하냐”(le****) 등의 댓글들이 잇따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