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행 대변인 “관계자로 나간 기사 책임 질수 없다” 편지 낭독
청와대가 기사에 ‘관계자’ 표현을 쓰지 말아 달라고 요구해 논란이 일고 있다.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유신시대냐”, “언론 검열의 시작인가. 두발, 치마 단속도 하고” 등의 의견을 내며 맹비난했다.
<한국일보>의 보도에 따르면 청와대는 3일 ‘고위 관계자’, ‘핵심 관계자’ 등을 인용한 언론 보도를 거론하면서 기자들에게 “관계자라는 표현을 쓰지 말아 달라”고 주문했다. 청와대 측은 기사의 정확성을 위해 실명 보도를 해야 한다는 점을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국민의 알 권리와 언론 자유가 위축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일보>는 외국의 주요 언론들도 취재원 보호를 위해 익명 보도를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면 청와대가 “비판적 목소리를 차단하기 위해 실명 보도를 요청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고 보도했다.
김행 청와대 대변인은 3일 오후 청와대 기자실을 찾아 “최근 청와대가 논의한 적도 없고 알지도 못하는 심지어 대통령의 생각과 동떨어진 내용이 청와대 관계자 명의로 자주 나온다”며 편지를 읽었다.
그는 “청와대는 물론, 해당 언론사의 신뢰마저 손상시키는 바람직하지 못한 사례”라며 “관계자의 말을 인용한 보도의 경우 사실이 아닌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청와대는 관계자란 이름으로 입장을 밝히지 않는다”며 “관계자로 나간 기사는 청와대와 무관함을 명백히 밝히며 책임질 수도 없다”고 말했다. 또, “여러분이 요청하는 걸 쭉 적어서 내가 확인해서 알려드릴 테니 대신 내 이름을 써 달라”고 당부했다.
윤창중 대변인도 이날 오전 기자실을 찾아 “오늘부터 ‘고위 소식통’, ‘고위 관계자’라는 말은 제가 여기 와서 브리핑할 때 써 주시고 그만 쓰도록 합시다”라고 제안했다.
SNS 이용자들과 네티즌들은 이같은 소식을 접하고 “신 보도지침. 윤창중은 대리 기자”(lyu*****), “요즘 박근혜 바빠서 그래요~ㅋㅋ 언론 상대로 입김질 해대느라. ○○정부 이딴 것 말고 대통령 이라 써라, ‘청와대 관계자’ 인용말라 등등. 그 자리 앉아서 특권의식만 가득차서는.. 대선 전 TV 토론에 이력서 들고나와 자랑질 할 때 알아봤어야죠.”(val*********) 등의 반응을 보였다.
트위터와 인터넷에서는 “세세하게 신경 쓰시느라 온갖 비리가 넘실대는 인사들을 못 보셨나봅니다! 그런 거에 신경쓸 시간 있음 제대로 된 인간들이나 찾아보시죠.”(한드***), “관계란 말에 알러지가 있나보군ㅋㅋ”(평*), “맹박이는 찌라시 언론 식물언론 만들고 그것도 모자라 실명으로 기사쓰라. 누가 감히 안 좋은 일에 제 이름 내걸까. 발상이 유신시대구나.”(삼**),
“헐 언론 검열 시작인겨? 유신시대~~ 다시 교련복입고 학교가자 두발단속 치마단속도 하고 ㅎㅎ”(네**), “독재자가 국민의 알권리를 생각하냐”(대갈************), “통제하는 방법이 참 구태의연 하군.. 이보세요. 기사는 기자가 쓰는 것이고, 그 기사가 잘못 되었을 때는 독자에게 책임을 지는겁니다.”(바람***) 등의 비난 글들이 잇따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