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SNS 비판의견 이어져…정홍원 “‘추념일 지정’ 추진” 달래기
결국 박근혜 대통령은 4.3 항쟁 65주기 위령제가 열리는 제주를 찾지 않았다. 정홍원 국무총리와 박 대통령이 보낸 조화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최근 영화 ‘지슬’ 등으로 인해 4.3항쟁에 대한 재조명이 이뤄지는 상황에서 박 대통령의 불참은 지난해 대선에서 강조한 ‘국민대통합’과도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더구나 박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11일 서귀포 유세에서 “제주 4.3 사건은 제주도민뿐만 아니라 전 국민의 가슴 아픈 역사”라며“ 그동안 정부차원의 많은 관심과 노력이 있었지만 아직도 부족한 점이 많다. 4.3 사건 추모기념일 지정 포함해서 제주도민의 아픔이 모두 해소될 때까지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 SNS상에서는 “제주의 아픔을 쓰다듬겠다던 약속이 또 한번 깨지는 날”(answer****), “대통령이 됐으면 아파하는 국민부터 찾아야지, 이게 뭡니까”(Field***), “공약을 했으면 지켜야지?”(byolee****), “4.3 공약은 선거용 캠페인이라는 게 여기서 드러나는군”(iron_****) 등의 비판글들이 이어졌다.
변상욱 CBS 대기자는 2일 ‘기자수첩’에서 “새누리당은 제주도 거리마다 ‘4·3 완전 해결’이라고 쓴 플래카드를 내걸었다. 보수정치권마저 제주 4.3을 이렇게 끔찍이 생각해주고 있다는 공감대에서 나온 지지율이 50.5%인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변 대기자는 “그렇다면 이제는 마음이 달라진 걸까? 그렇다 치자, 사람 마음이 다 그렇다고들 하니까”라며 “그러나 속마음이 그렇지 않더라도 대통령은 제주로 가야 한다. 아픔을 씻어내고 맞이할 새로운 미래 창조를 위해 대통령은 제주로 가라!”고 주문했다.
이에 앞서 김현 민주통합당 대변인은 1일 현안브리핑을 통해 “지난 5년 동안 이명박 대통령이 4.3 위령제를 한 번도 방문하지 않았지만, 박근혜 대통령은 4.3의 완전한 해결을 공언했다는 점에서 위령제 불참은 매우 실망스럽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정미 진보정의당 대변인은 2일 논평을 통해 “국가 추모기념일 제정을 포함하여 제주도민의 아픔을 치유하기 위해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이겠다던 대선공약은 약속은 어디로 사라졌나”라며 “박 대통령의 공약이 제주도민들의 표를 얻기위한 거짓공약이었다면 그분들 상처에 소금을 뿌리는 정말 못된 일이 아닐 수 없다”고 꼬집었다.
이수정 통합진보당 부대변인도 이날 논평에서 “박 대통령이 대선시기에 제주 4.3을 해결하겠다던 약속했지만, 억울하게 희생되신 영령들을 철저히 외면하면서 국민들에게 큰 실망감을 안겨주고 있다”며 “박 대통령은 ‘국민대통합 시대’를 입으로만 여는가. 원칙과 신뢰를 바탕으로 대탕평을 이루겠다던 그 큰소리는 모두 거짓이었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같은 비판여론을 의식한 듯, 위령제에 참석한 정홍원 국무총리는 추도사를 통해 “정부는 특히, 박근혜 대통령께서 약속하신 바 있는 ‘4.3 사건 추념일 지정’과 ‘4.3 평화재단 국고지원 확대’ 차질 없이 추진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4·3사건 희생자들을 기리고 유가족을 위로하는 일에 정성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정 총리는 “제주도민의 통합정신이 바탕이 돼 우리나라가 당면한 여러 가지 어려움을 이겨내고 ‘국민행복, 희망의 새 시대’를 활짝 열어갈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한다”고 말했다.
우근민 제주지사는 “4.3이 ‘화해와 상생’의 정신으로 승화되기 위해서는 우선 국가차원의 위령제가 개최돼야 한다”며 “화해와 상생, 평화와 인권의 의미를 담은 국가 추념일 제정을 통해 4.3이 제주를 넘어서서 세계적인 차원에서 화해와 상생, 평화와 인권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새누리당은 3일 민현주 대변인의 논평을 통해 “제주 4.3사건은 우리 근현대사의 비극이요, 우리 모두의 가슴 아픈 역사”라며 희생자와 부상자, 유가족들에 대한 위로의 메시지를 전했다.
민 대변인은 “제주도가 진정한 평화와 번영의 섬으로 자리매김하고 우리나라가 더 큰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제주 4.3사건을 둘러싼 해묵은 이념 논쟁을 뛰어 넘어 지난 역사의 상처를 보듬고 극복하는 일에 마음을 하나로 모아야 할 것”이라며 “희생자와 유가족의 명예를 회복하는데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