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최대현 “민주 요구 씁쓸” 클로징멘트 논란

데스크 요청 묵살, 멘트 날려…노조 “100% 공감 못할 멘트 안돼”

MBC 노동조합은 7일 “시청자를 불편하게 하는 클로징 멘트는 안된다”며 사측에게 “사안의 엄중함을 인식하고 재발 방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MBC 노조는 민주언론실천위원회(이하 민실위) 보고서를 통해 6일 MBC 이브닝 뉴스에서 최대현 아나운서의 클로징 멘트와 관련, 100%가 공감할 수 없는 클로징 멘트는 금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최 아나운서는 이날 “민주통합당이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의 조건으로 MBC 사장에 대한 검찰 수사와 퇴진을 요구했다”며 “안보 공백 등 국정운영 차질이 우려되는 상황과 MBC 사장 퇴임을 교환하자는 주장을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서 어찌 받아들여야 하는지 씁쓸하기만 합니다”라고 클로징멘트를 했다.

ⓒMBC 캡처
ⓒMBC 캡처

민실위가 경위를 파악한 결과 최 아나운서는 클로징 멘트를 하는 과정에서 담당 PD의 요청을 두 차례나 무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차 요청 시 담당 PD는 9시 뉴스데스크 시보를 맞추기 위해 정시에 이브닝 뉴스를 마쳐야 하고 기사에 없는 내용으로 클로징 멘트를 하면 사견으로 비춰질 우려가 있다며 멘트를 하지 말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최 아나운서는 보도국 편집부의 요청과 지시를 무시한 채 클로징 멘트를 하고 뉴스를 마쳤다.

이와 관련, 최 아나운서는 민실위 간사와의 통화에서 “정치부가 작성한 기사에서 MBC 사장에 대한 부분이 누락된 것이 문제”라며 “누락된 부분을 클로징 멘트나 앵커멘트에서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안 된다”고 주장했다.

최 아나운서는 “나의 클로징 멘트보다 더 강한 내용을 뉴스데스크에서 4꼭지나 다뤘다. MBC에 중요한 사안이었다”며 “내가 회사의 보도지침에 반해서 내 개인 생각을 논한 것도 아니고 기사에 누락된 부분에 대해 뉴스에서 전달했을 뿐”이라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당일 뉴스데스크 기사에는 MBC 사장과 관련된 내용이 보도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황용구 보도국장은 “뉴스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기자들이 기사 속에서 기사로 말하는 것이 보도국의 방침”이라며 “메인뉴스에서도 클로징 멘트를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황 국장은 “최 아나운서에게 주의를 주라고 조상휘 센터장에게 지시했다”며 "시청자 100%가 공감할 수 없는 클로징 멘트를 통해 시청자들을 불편하게 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조상휘 센터장은 “보도국 편집부는 기사는 물론 시간 등 많은 부분을 고려 한다”며 “뉴스 진행자가 PD와 상의 없이 클로징 멘트를 하는 것은 반대다. 최 아나운서에게 개인적인 의견을 표명하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고 전화로 주의하라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MBC 노조는 ‘go발뉴스’의 정치적 평가가 들어간 발언이냐는 질문에 “그 부분에 대해서는 이야기할 입장이 아니다”라며 “시청자를 불편하게 하는 멘트는 안된다”고 밝혔다.

언론개혁시민연대는 ‘go발뉴스’에 “MBC 사장이 물러나야 하는 건 맞지만 정부조직법의 거래 대상으로 사장을 쫒아내자 주장하는 건 부적절하다”며 “그런 의미에서 최 아나운서의 클로징 멘트는 타당성이 있다고 보지만 데스크의 자제 요청을 무시한 것은 내부 과정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이라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